이재명 대통령이 가을철 산불 위험 지역인 강원특별자치도를 찾아 "지나친 것이 부족한 것보다 100배 낫다"며 철저한 산불 진압 대응 체계 구축을 다시 한번 주문했다. 현장의 1차 산불 진압에 대한 책임 소재도 명확히 하라고 지시했다.
이 대통령은 6일 원주에 위치한 산림청 산림항공본부를 찾아 산불진화 관·군 합동훈련을 참관하고 진화 장비 및 대응체계를 점검했다.
이 대통령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것이 국가의 제1책무이고 공직자들이 해야 할 가장 우선적인 사명"이라며 "지나친 것이 부족한 것 보다 100배 낫다라는 생각으로, '과잉이다' 싶을 만큼 조기 대응을 통해서 원점 진화를 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어 "조금 망설이다가 산불이 확산 되면 점점 더 많은 인력과 자산이 투입되고, 결국 자연 진화를 기대해야 하는 일이 다시는 벌어지지 않도록 철저하게 훈련하고 대비해 달라"고 당부했다.
또 "가장 중요한 것은 산불이 발생하지 않게 예방하는 것"이라며 "최선을 다해서 예방 대책을 강구하고 일단 발견하면 조기 대응에 신속하게 나서 주시기를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산불 현장의 1차 진화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며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라는 지시도 내렸다.
이 대통령은 "산불이 나서 누군가가 발견해서 신고가 들어왔을 때 그 현장에 대한 최종 지휘 책임은 누구에게 있느냐. 지금처럼 단계적으로 책임자를 달리 해놓으면 형식적으로는 맞는데 실제로는 우왕좌왕하게 돼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는 산불 발생시 가장 먼저 시장· 군수 등 기초지자체장이 지휘하고, 산불 확산 규모에 따라 단계적으로 시·도지사와 산림청장 등으로 지휘 책임이 달라진다.
이 대통령은 "지방정부와 산림청이 초기에 갈등이 벌어질 가능성이 있어서, 서로 망설이고 그러면 그 사이에 (산불이) 퍼지지 않느냐"며 "원칙적인 책임 주체를 명확하게 하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산불 대응체계를 점검한 산림청의 산불 진화 헬기에 탑승해 동해안 일대를 시찰했다. 시찰은 강릉까지 동해안을 따라 이어졌으며 산림청 산림재난통제관이 과거 산불 피해 지역 등을 보고했다.
이 대통령의 강원도를 찾은 것은 지난 8월 강릉 가뭄 현장 방문과 춘천 타운홀 미팅에 이어 이번이 취임 후 세 번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