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속보]울산화력발전소 붕괴 철재에 팔 낀 채 구조 기다리던 40대 시신 수습…사망자 3명으로 늘어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보일러 타워 4·6호기 발파 준비 본격화…해체 사전작업 속도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나흘째인 9일 무너진 보일러 타워 5호기 양옆으로 4·6호기가 위태롭게 서 있다. 지난 6일 발생한 이 사고로 작업자 7명이 매몰돼 3명 사망, 2명 사망 추정, 2명 실종 상태다. 붕괴 현장에는 현재 실종자 2명을 포함해 5명이 아직 매몰돼 있다. 2025.11.9 사진=연합뉴스

속보=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사고로 인한 사망자가 3명으로 늘었다.

울산소방본부는 9일 오전 울산화력발전소 보일러 타워 붕괴 현장에서 사망자 시신 1구를 추가로 수습했다고 밝혔다.

수습된 시신은 구조물에 팔이 낀채 생존해 구조를 기다리다가 지난 7일 새벽 끝내 숨진 김모(44)씨로 확인됐다.

지난 7일 오전 9시 6분께 구조된 1명은 병원으로 이송돼 사망 판정을 받았고, 11시 15분에 구조된 1명은 현장에 설치된 응급의료소에서 의료진으로부터 사망 판정을 받은 뒤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에 따라 사고 당시 작업자 9명 가운데 사망자는 3명으로 늘었다.

앞서 지난 6일 오후 2시 2분께 울산화력발전소에서 가로 25m, 세로 15.5m, 높이 63m 규모의 보일러 타워 5호기가 순식간에 붕괴해 현장에 있던 작업자 9명 중 7명이 매몰됐다.

3명의 사망자 외 2명도 숨진 것으로 추정되며, 나머지 2명은 실종된 상태다.

사고 직후 병원으로 이송된 부상자 2명은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나흘째인 9일 발전소 내부에서 구조 당국 관계자들과 관계 차량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 6일 발생한 이 사고로 작업자 7명이 매몰돼 3명 사망, 2명 사망 추정, 2명 실종 상태다. 붕괴 현장에는 현재 실종자 2명을 포함해 5명이 아직 매몰돼 있다. 2025.11.9 사진=연합뉴스

한편, 위험 징후 감지로 밤사이 수색·구조 작업이 중단된 붕괴 현장에서 9일 오전 실종 매몰자 수색이 재개됐다.

무인기(드론)를 이용한 수색이 먼저 이뤄졌다가 구조인력도 투입됐다.

소방 당국은 전날 오후 5시 25분께부터 매몰자 구조·수색을 위한 작업을 전면 중단했다.

붕괴한 보일러 타워 5호기에 부착해 둔 기울기 센서가 반응하면서 경보음이 울렸기 때문이다. 소방당국은 무너진 타워 잔해에서 추가 붕괴 위험이 있을 수 있다고 판단, 구조·수색 인력과 장비 등을 즉시 현장 주변에서 철수시켰다.

소방 당국은 9일 오전 7시 구조안전 전문가 등이 참여한 상황판단 회의를 열어 현재 내부 수색 작업은 위험하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야간에 내린 비, 현재 불고 있는 바람, 사고 발생 전 4·6호기에 이미 상당히 진행된 취약화 작업(철거 시 한 번에 쉽게 무너질 수 있도록 기둥과 철골 구조물 등을 미리 잘라놓는 것) 등을 고려했을 때 추가 붕괴 위험성이 높다는 판단에서다.

이에 소방 당국은 이날 오전 8시 10분부터 드론을 투입한 수색 활동을 재개했다.

소방 당국 관계자는 "향후 취약화 작업이 시작돼도 드론 수색은 계속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러다가 오전 10시 30분부터 수색 작업에 구조대원 17명도 투입했다. 현장 상황이 일부 바뀐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5호기 양 옆에 있는 4·6호기를 발파해 해체하기 위한 사전 작업도 이날부터 본격화할 전망이다.

붕괴 위험이 있는 이들 타워를 발파하려면 현재 75% 수준인 6호기의 취약화 작업을 마무리해야 한다. 현장에선 이 작업을 통해 발파 때 5호기나 대형 굴뚝이 있는 쪽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유도할 예정이다. 작업 인력은 이르면 9일 중에 투입될 수 있다.

현장 인근을 지나는 LNG 배관에 질소를 주입해 배관을 비우는 '퍼징(purging) 작업'도 병행한다. 타워 발파 영향으로 배관이 폭발하는 등 2차 사고를 방지하려는 목적이다.

◇한국동서발전 울산발전본부 울산화력발전소 사고 나흘째인 9일 발전소 내부에서 구조 당국 관계자들이 바쁘게 움직이고 있다. 지난 6일 발생한 이 사고로 작업자 7명이 매몰돼 3명 사망, 2명 사망 추정, 2명 실종 상태다. 붕괴 현장에는 현재 실종자 2명을 포함해 5명이 아직 매몰돼 있다. 2025.11.9 사진=연합뉴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