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지역 장애 여성들이 임신·출산 과정에서 기본적인 산부인과 진료를 이용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군 지역에 산부인과가 없는 경우가 많고 시 지역의 경우 장애인을 위한 시설이 구비돼 있지 않아 불편하기 때문이다.
속초에 거주하는 20대 지적장애인 A씨는 지난 1월 둘째 출산을 앞두고 제왕절개가 필요했지만 지역 병원에 마취통증의학과 의사가 없어 2시간 가량 도움을 받아 버스를 타고 춘천으로 이동해 분만했다. 또다른 20대 지적장애인 B씨는 당초 자연분만을 하려 했지만 갑자기 상황이 바뀌면서 버스로 40여분을 이동, 춘천에서 겨우 분만 할 수 있었다.
40대 지체장애인 C씨의 경우 한번도 부인과 건강검진을 해보지 못했다. C씨는 “지역내 병원에서 산부인과 검진을 하려 했지만 기기에 맞춤 자세를 취하지 못해 초음파 외에는 검사를 하지 못했다”고 했다. 결국 C씨는 3시간 가량 원주로 이동, 원주의료원 장애친화건강검진센터에서 휠체어에 앉아 검진을 받을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도 두명의 의료진에 도움을 받았다.
이처럼 장애 여성들이 임신 확인, 정기 검진 등 필수 의료 과정에 높은 장벽이 존재, 병원 문턱 자체를 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특히 정부가 ‘장애친화 산부인과’를 지정하고 있지만 강원도는 단 한 곳도 없는 상황이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서미화 의원에 따르면 병원급 도내 장애인들의 산부인과 이용률은 2022년 1.5%, 2023년 1.3%, 2024년 1.1%다. 상급종합병원을 이용하는 도내 장애인들의 산부인과 이용률도 2022년 1.8%, 2023년·2024년 1.9%에 그쳤다.
이동영 가톨릭관동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여성 장애인은 각각 장애 특성과 특별한 의료적 요구가 있는데 이를 한 명의 의사가 모두 담당하기는 어렵다”면서 “지역균형 차원서 권역별 장애친화 병원 설치를 의무화하고 주치의 제도가 실질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기반이 갖춰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