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대청봉]서원주역세권, 지금부터 준비해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허남윤 원주취재팀장

여주~원주 복선전철이 지난해 초 공사를 시작했다. 공 진행이 지지부진하다는 소식도 전해지지만, 어쨌든 경강선의 완성을 위한 여정은 현재진행형이다.

여주~원주 구간이 포함되는 경강선은 동서축을 잇는 준고속급 간선철도망이다. 월곶판교선과 판교~여주선, 여주~원주선, 원주(만종)~강릉선 등 4개 구간으로 사업이 진행됐다. 이중 판교~여주선은 2016년 9월, 원주-강릉선은 2017년 12월 각각 개통했다. 월곶~판교와 여주~원주 구간은 공사가 한창이다.

가장 핫한 여주~원주 복선전출 구간의 경우 2023년 공사를 시작했지만, 용지보상과 문화재 발굴, 민원해결 등 숱한 과제를 해결해가는 과정으로, 공사가 다소 늦어지면서 완공 목표 시점도 조금씩 뒤로 미뤄지는 모양새다.

하지만 개통을 위한 과정이라 생각하면 중요한 일은 아닐 것이다.

여주~원주 구간은 단순히 경강선의 미싱링크 구간을 복선의 철로를 연결하는 것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여러모로 쓰임새가 참 다양하다.

우선 경부·수서고속선의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는 '대체노선'으로 각광을 모으고 있다. 중앙축과 함께 중부내륙축과의 연계성도 주목된다. 이들 두개 노선축이 빛을 보려면 강남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줄 수 있는 여주~원주선과 수서~광주선의 완성이 요구된다.

원주시민 입장에서는 서울 강남까지 40분대에 주파하는 철도 노선을 갖추게 된다.

여주~원주 복선전철 개통에 따른 수혜는 단순히 수도권과의 접근성이 개선되는 것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원주가 도시경쟁력을 갖춰 수도권 시대의 신주류가 되기 위한 노력이 수반돼야 한다.

현재 공사가 한창인 상황에서 원주시는 역세권 개발에 대한 기본구상을 마련하기 위한 타당성 조사 용역을 진행 중이다. 이러한 점을 보면 개발의 초기 단계인 만큼, 역세권 개발에 대한 청사진을 마련하는 것이 절호의 찬스라 할 수 있다.

역세권 개발은 단순히 기차역 주변 땅값이 오르는 것에 정답이 있는 것이 아니다. 교통 접근성은 물론, 상업·업무기능과 주거기능의 복합개발을 고민해야 한다.

서원주역의 경우 동서 철도망 연계(경강선)와 수도권 접근성 향상이라는 측면에서 장점이 분명하다. 이에 따라 주거용 부동산과 함께 상업시설, 업무시설(오피스), 복합단지 등을 고려한 청사진을 제시해야 설득력을 고루 갖출 수 있다.

여주~원주 복선전철이 개통되면 서원주역은 철도교통의 허브로 급부상하게 된다. 여주~원주 복선전철 개통 이전에 역세권 개발계획을 보다 구체화하는 시켜야 하는 이유다.

더욱이 GTX-D노선의 원주연결이 발표됨에 따라 서원주역 일대의 광역교통망 접근체계 개선으로 물류여건 개선과 개발압력이 증대돼 경제적이고 합리적인 개발사업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에 기업도시의 활용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 서원주역세권 개발은 기업도시를 단순히 배후도시로서가 아니라 역세권 중심에 두고 접근해야 한다. 계획인구 3만명을 넘어선 기업도시를 중심으로 역세권 개발계획을 추진해야 한다.

단순히 아파트 등 주택으로 채워지는 수도권의 배드타운이 아닌, 실질적인 생산활동 중심으로 조성해야 한다는 얘기다.

여전히 서원주역사만 덩그러니 남아 있고 주변이 방치된 상태다, 이 공간을 어떻게 그려가야 할지 머리를 맞대야 한다.

원주시는 서원주역 주변을 기업혁신파크와 경제자유구역, 투자선도지구, 산업단지 등 다양한 유형을 놓고 고심하고 있다. 각 유형별로 타당성 분석에 나선 상황이다.

여기에는 어떤 정치적 진형논리가 반영돼야 할 틈바구니가 없어야 한다. 오롯이 원주시의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일이 우선되고, 시민의 권리가 보장되는 측면으로 접근해야 한다.

원주가 지방으로 향하는 길목이자, 수도권으로 가는 관문이 서원주역세권 개발에 달려 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