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강원 산림 '단순 개발' 넘어 '가치 창출'로 승부해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정윤희 강원연구원 연구위원, 3대 특별법 비교 분석 제시
“수익 추구형 벗어나 ‘강원형 융복합 콘텐츠’로 차별화 시급”

‘산림 규제 완화’를 주도해 온 강원특별자치도가 기존의 단순 개발 위주 전략을 버리고 ‘가치 창출형 산림 모델’로 체질을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강원연구원은 지난 26일 발간한 정책톡톡 ‘산림 규제 완화의 춘추전국시대: 3대 특별법 비교와 강원형 산림 모델의 혁신전략’을 통해 타 지자체의 특별법 제정에 따른 위기 요인을 진단하고 강원도의 대응 전략을 제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최근 강원·전북·경북이 모두 산림 특례를 담은 특별법을 확보했으나, 세 지역 모두 규제 완화와 인허가 의제에 기반한 ‘개발 중심 전략’을 취하고 있어 지구 간 기능 중복과 콘텐츠 획일화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경상북도의 추격이 위협적이다. 연구원은 “‘재난 복구’를 명분으로 내세운 경북 산불특별법은 수의계약 허용, 패스트트랙 적용 등 강력한 인센티브를 포함하고 있다”며 “이는 선발 주자인 강원도의 투자 유치 경쟁력을 실질적으로 위협할 수 있는 요소”라고 분석했다. 전북의 경우 산악관광 중심으로 기능이 특화돼 있어 산업 확장성 측면에서는 제한적일 것으로 평가됐다.

이에 따라 강원연구원은 강원도만의 유일한 무기인 ‘산림이용진흥지구’의 활용성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타 시·도의 지구가 특정 목적에 국한된 반면, 강원도의 산림이용진흥지구는 범용적이고 상시적이며 분권형 구조를 갖춰 독자적인 정책 설계가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다.

정 연구위원은 "기존의 수익 추구형 산림 개발에서 벗어나 치유, 연구, 탄소, 웰니스 등 다층적 가치를 창출하는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