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랜드 고객 중 포인트 카드(콤프)를 발급받은 고객은 현재 27만3,000여명에 이른다. 콤프깡 주변 업자들은 이 중 10~20%가량이 콤프깡에 이용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
본보가 입수한 일명 '콤프 계약서'는 카지노 주변에 만연된 '조직화 된 콤프깡'의 실체를 그대로 보여준다.
허락 없이 카드 재발급 시 사기혐의로 고소당하기도
잘못된 일 알면서도 업자 카드 결제할 수밖에 없어
'깡' 조직화 폐해 고스란히 가맹점과 고객들이 떠안아
■콤프 계약서=A4종이 4분의 1크기의 계약서에는 “성명, 주민번호, 비밀번호, 금액, 주소, 전화번호 이외에 '본인()은 포인트 점수()를 현금()에 양도한다. 만약 포인트 카드를 허락없이 재발급받을 시 민형사상의 모든 책임을 진다”고 명시돼 있다.
한 카지노 고객이 작성한 계약서에는 (XXX)는 포인트 점수(198만500원)를 현금 (65만원)에 양도한다고 써 있다. 포인트 금액의 약 30%다. 그렇다면 계약서에 나온 민형사상 책임은 무얼 의미할까.
한 해당 분야 종사자는 “100만원의 포인트가 쌓인 카드가 있다고 하자. 하지만 하루 최대 5만원밖에 가맹점에서 긁지 못한다. 때문에 포인트를 모두 소진하는데 최소 10일이 걸린다. 하지만 이 기간이 끝나기 전에 카드를 판 고객이 카지노에 분실 신고를 하고 재발급받으면, 이전 카드는 그날로 사용이 중단된다. 카드를 사들인 업자가 손해를 보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이 벌어질 경우 일부 조직은 해당 고객을 사기 혐의로 고소하는 일까지 있다는 것이 관련 종사자들의 설명이다.
또 깡 업자와 약속한 날짜는 남았는데 카지노를 출입할 경우 포인트 생각에, 이미 자신이 판 카드에 웃돈을 얹어 되사와야 하는 그야말로 웃지 못할 경우도 있다고 한다.
여기에 카드깡 업자로서는 금액이 많으면 많을수록 포인트를 소진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는 만큼 20만~30만원 등 소액 카드를 가진 고객은 40%를 쳐주지만, 100만원대의 카드는 25~30%를 쳐주기도 한다고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콤프깡의 범죄 양산=콤프깡이 조직화되면서 정작 그 폐해는 가맹점과 고객이 떠안고 있다. 또 범죄자 양산도 부추기고 있다.
한 변두리 지역의 영세 식당 가맹점은 “카지노의 콤프를 가진 고객이 이곳 변두리 지역까지 와서 식사를 하면 모르겠는데, 그렇지 않다. 업주 입장에서는 월매출 200만원(순익 약 60만원)을 올릴 수 있는데, 잘못된 일인 줄 알면서 콤프깡 업자의 카드를 결제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신용카드깡을 처벌하는 여신금융업법에서는 신용카드 등 유가증권만을 대상으로 하지, 이처럼 개별 기업이 발행·유통하는 포인트 카드는 처벌 대상이 될수 없다.
그나마 허위 매출로 해당 기업에 가짜 청구를 하는 만큼 사기나 회사의 영업방해 등의 혐의가 적용될 수 있다. 결국 조직화된 콤프깡은 계속 소규모 영세상인들을 범죄로 끌어 들이고 있는 셈이다.
■대책은 없나=강원랜드가 콤프 카드 이용 시 본인 확인 절차를 강화한다면 깡 과정이 번거로울 수 있는 만큼 줄어들 여지가 있다. 동시에 콤프 고객이 현금화 유혹을 뿌리치고 이를 사용할 수 있도록 1일 사용제한을 푸는 방안도 제시되고 있다.
한 가맹점 관계자는 “고깃집에 3~4명이 가면 10만원을 훌쩍 넘기는데, 한도 5만원의 콤프로는 이용이 안 된다. 아예 상점마다 이용 한도를 올리는 것이 오히려 정상 사용을 유도할 수 있다”고 했다.
또 백화점이나 구두 상품권이 할인 유통되는 것처럼 아예 고객이 콤프 카드로 재래시장 상품권을 사고, 이를 되팔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또 다른 관계자는 “몇몇의 조직화된 콤프깡 조직이 건전한 유통질서를 방해하고 소규모 영세상인들을 범죄에 끌어들이는 현 행태를 어떤 식으로든 바로잡아야 한다”며 “경찰 등 사법기관의 강력한 유통질서 확립을 위한 개입과 동시에 제도적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 폐광지역 경제 회생을 위한 콤프의 순기능이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류재일기자cool@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