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역사 속 강원인물]신숭겸 장군 연보

◇신숭겸 장군 충렬도(사진 위쪽) ◇영각 유허비(사진 아래 왼쪽) ◇신숭겸 장군 위패 ◇신숭겸 우표 날인

■ 생년 미상. 평산 신씨(平山申氏)시조. 신 라말 전라도 곡성에서 출생해 광해주(춘 천)으로 이주. 고려사에는 원래 이름은 능 산(能山)이고 광해주 사람이며, 체격이 장대하고 용맹이 있었다고 기술.

■ 918년 태봉의 기장으로 배현경·홍유·복지 겸 등과 협력해 궁예를 폐하고 왕건을 추대.

■ 927년(태조10년) 공산전투에서 견훤의 군대에게 태조 왕건이 포위되자 김락 등 과 함께 태조의 갑옷으로 갈아입고 태조 를 구출한 뒤 순국. 태조는 머리가 없는 신 숭겸의 시신을 수습해 순금으로 두상을 만 들어 매장한 후 장절(壯節)이라는 시호를 내림. 그의 아우 능길과 아들 보를 모두 원 윤(元尹)으로 삼고, 지묘사를 창건해 그들 의 복을 빌게 함.

■ 994년 4월 태사(太師)로 추증돼 태사개 국장절공(太師開國壯節公)으로 태묘(太 廟)의 태조사당에 배향됨.

■ 1120년(예종 15년) 고려 16대 임금 예종 은 신숭겸과 김락을 추도해 도이장가(悼 二將歌)라는 향가를 지음. 곡성의 양덕사, 대구의 표충사, 춘천의 도포서원, 평산의 태백산성사 등에서 제향.

■ 1589년(조선 선조 22년) 신숭겸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덕양서원 창선. 신 숭겸 위패를 모심.

■ 1832년(순조 32년) 승정원 도승지 신정 위가 공산전투에서 전사한 신숭겸의 유 허지에 비문의 시를 짓고 영각 유허비(영 각 유허비)를 세움.

■ 1848년(헌종 14년) 유림에서 영각 유허 비를 보존하기 위해 비각을 세움. 매년 음 력 9월9일 문중에서 합동으로 향사를 지냄.

■ 1897년(광무 원년) 신숭겸이 탄생한 곳 을 매입해 유허비를 세움. 1929년 단을 모 아 용산단으로 칭함. 신숭겸 태를 묻었다 는 단소와 용산재, 구룡문 등이 있음.

■ 1976년 장절공 묘역 도기념물 제21호로 지정, 한국 4대 명당지로 선정. 매년 4월 춘기제례 봉행.

■ 2004년 10월 평산신씨 대종중에서 신숭 겸 묘역 입구에 장군의 동상을 건립. 동상 은 운보 김기창화백이 그린 영정을 토대 로 조성.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