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도교육청 정시확대 대처방안 실효성 의문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자기주도학습실 지원안 등 발표

차별화없이 기존전략 재탕 지적

최근 교육부가 서울권 주요대 정시 확대 방안 등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발표하자 강원도교육청이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내놨다. 하지만 수능 성적 전국 최하위권인 강원도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대책으로는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강원도교육청은 3일 교육부의 대입제도 공정성 강화 방안을 분석한 결과 강원도 학생들이 큰 강점을 보이고 있는 학생부 위주 전형의 모집인원 축소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오히려 도내 학생들에게 매우 불리했던 논술, 특기자 전형이 줄어들고 정시 인원이 확대된다면 학생들의 준비 여부에 따라 수시와 정시에 대한 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도교육청은 “수도권 대학에서 지역균형 선발이 10%로 확대되면 도내 학생이 수도권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의 폭이 넓어진다”며 “농어촌전형을 포함한 사회적 배려 대상자 선발 인원 10%가 의무화되면 농어촌 지역이 많은 도내 학생에게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수시모집의 지역균형 선발이나 농어촌전형 등에 사실상 수능 최저학력기준이 부활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시전형뿐만 아니라 수능 최저학력기준 충족을 위해서라도 수능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른 강원도 정시전형 대응전략으로 일반고 자기주도 학습실 조성, 강원진학지원센터 운영을 통한 도내 학생 맞춤식 진학자료 제공, 고교 교원을 대상으로 수능형 평가문항 출제 역량강화 연수, 대입지원관 및 강원진학지원센터 상담연수 지원팀 활동 강화 등을 발표했다.

하지만 대응전략 대부분이 종전과 다르지 않고 실제 도교육청에서 수능 성적 제고를 위한 강원도만의 대책은 일반고 자기주도학습실 조성 지원에만 의존하고 있어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전국에서 가장 많은 13명의 대학입시지원관이 있지만 타 시·도와 비교해 차별화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해 도교육청 관계자는 “아직 서울권 주요 대학들의 수시 수능 최저학력기준 적용 여부가 확실히 정해지지 않은 만큼 구체적인 계획이 나온다면 이에 맞는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장현정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