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중언

[언중언] ‘청소년올림픽’의 다이어리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노인과 바다’라는 작품으로 퓰리처상과 노벨상을 수상한 세계적인 작가 어니스트 헤밍웨이(Ernest Miller Hemingway). 작가 헤밍웨이는 다이어리의 기능 중 미래 쪽 보다는 과거 쪽에 더 주목했다. ‘할 일’이던 스케줄이 ‘한 일’이 되어 남은 기록들을 찬찬히 다시 보며 아쉬운 점은 반성하고, 잘한 일은 뿌듯해했다고 한다. 헤밍웨이는 “다이어리를 되돌아보는 시간이 참 괜찮은데 이것을 정작 행하는 사람은 매우 드물다”며 아쉬워했다고 한다. ▼2024강원동계청소년올림픽대회가 2개월 앞으로 다가왔다. 전 세계인을 감동시키고 가장 성공적인 동계올림픽이라는 평을 받았던 2018평창동계올림픽이 끝난 지 6년 만에 다시금 전 세계 청소년들의 축제가 개최되는 것이다. 81개국 2,900명의 선수와 임원, 6,000여명에 이르는 외국인이 아시아 최초로 열리는 동계청소년올림픽을 찾는다. 대회 장소는 2018동계올림픽 유산을 활용하며 비용 절감과 지속가능성을 높였다.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경우 많은 수식어와 기록을 남겼다. 남북관계 개선에 이바지한 평화올림픽, 아리랑과 K-POP의 진수를 선보인 문화올림픽, 역대 최대 참가국과 금메달 수 100개를 넘긴 최초의 올림픽 등 최고의 찬사가 붙은 동계올림픽을 치러낸 곳이 바로 강원특별자치도다. 이 경험을 기반으로 개최도시들은 청소년올림픽 붐업 조성과 대회 운영을 위한 막바지 준비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아쉬운 점도 있다. 스키 종목 중 가장 부상 위험이 큰 알파인스키와 모굴 경기가 정선 하이원 스키장에서 열리고, 350여명의 선수가 머무는 선수촌도 조성된다. 하지만 공식 지정병원인 정선군립병원에는 정형외과 의사가 단 1명뿐이고, 지역의 환자들까지 진료해야 해 의료진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개최도시에서 특별한 감동과 행복함을 느낀다면 세계의 청소년들은 미래의 강원을 다시 방문할 잠재적 수요가 된다. 이제는 헤밍웨이처럼 다이어리를 뒤적여 부족함을 메울 때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라이프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