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역소멸 고위험군으로 분류되는 9개 군(郡)과 1개 시(市)를 통과하는 14조원 규모의 고속도로가 추진될 수 있을 지 관심을 모은다.
강원특별자치도는 올 하반기 발표가 예상되는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에 양구~경북 영천 남북 9축 고속도로를 비롯해 속초~고성 고속도로(동해고속도로 연장), 포천~철원 고속도로(포천~세종고속도로 연장), 춘천~철원 고속도로(중앙고속도로 연장), DMZ 동서평화 고속도로(철원~고성) 등 5개 사업의 반영을 노리고 있다. 그동안 수도권 연결망에 집중하면서 SOC확충이 다소 더뎠던 접경지와 강원 내륙지역을 직접 연결하는 종단망 확보를 최우선 과제로 삼았다.
이중 가장 관심을 끄는 사업은 강원~경북을 연결하는 남북 9축 고속도로다.
광역시·도간을 연결하는 사업으로 강원은 물론 경북에서도 후보사업 최상위에 올려두고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지역소멸 위기에 처한 지역을 관통한다는 점에서 정책적 필요성이 크게 주목 받는다.
이 고속도로는 강원 양구, 인제, 홍천, 평창, 정선, 영월을 지나 접경지와 폐광지를 연결한다. 경북 봉화, 영양, 청송, 영천을 통해 경주와 울산, 부산까지 이어진다.

고속도로가 지나는 10개 시·군 중 5개 지역(평창, 정선, 청송, 영양, 봉화)이 지역소멸(2024년 기준) ‘고위험군’으로 분류된다. 나머지 5개 지역(양구, 인제, 홍천, 영월, 영천)역시 ‘위험군’이다.
고속도로가 지나는 10개 시·군의 인구를 모두 더해도 약 39만명에 불과하다. 반면 사업비는 강원 구간만 6조5,000억원, 전체 구간 14조8,000억원으로 역대급 규모라 경제성이 떨어진다.
하지만 소멸위험지역을 관통해 강원~경북~경남을 연결한다는 정책적 상징성, 당위성이 큰 사업이다.
결국 남북 9축 고속도로의 제3차 고속도로 건설계획 포함 여부는 정부의 국토 균형발전에 대한 의지를 읽을 수 있는 바로미터가 될 수 있다.
남북9축 고속도로 추진협의회장인 서흥원 양구군수는 “강원도와 경상북도는 예로부터 왕래가 힘든 교통의 오지로 지역 균형발전은 물론 지역화합에도 장애가 됐다”면서 “남북 9축 고속도로를 연결하면 강원, 경북 내륙지역의 인적·물적교류가 확대돼 국토의 균형발전은 물론 ‘대한민국 번영의 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