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시와 삼척시가 지역 발전을 위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했다. 3,000억원 이상 투입되는 국내 최대 액화수소산업 거점인 ‘수소 저장 운송 클러스터 구축사업’의 추진이 지난 6일 최종 확정됐기 때문이다. 이날 열린 기획재정부 재정사업평가위원회(위원장:김완섭 제2차관)에서 동해·삼척 수소 저장 운송 클러스터 사업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이 사업은 동해와 삼척에 2028년까지 총 3,177억원(국비 439억원, 지방비 423억원, 민자 2,315억원)을 투자하는 대규모 프로젝트다.
동해시와 삼척시가 공동 전선을 형성해 면밀하게 계획을 세웠고 사업 추진의 당위성을 적극 설명한 것이 주효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발전의 획기적 전환점을 만들어야 할 때다. 동해시는 수소산업 육성 컨트롤타워, 삼척시는 국내 최대·최고의 수소 공급 기지로 조성된다. 지금부터 착실하게 준비해 나가야 한다.
총 사업비 3,177억원 중 민간자본이 2,315억원으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결국 이 사업의 향후 성공여부는 민간자본을 어떻게 끌어들이느냐가 성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이에 대한 치밀한 전략을 세워야 함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수천억원의 막대한 자본을 쏟아부어야 하는 민간자본 유치 방식은 긍정적 측면이 많다. 민간자본 유치의 가장 큰 매력은 자치단체의 경우 예산 부담에서 벗어나 사업을 조기에 시행할 수 있고, 민간자본은 사업 투자를 통해 수익을 얻는 상생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민간자본 유치는 또 지역 주민에게도 손해가 아니다. 주민들이 재정이 빈약한 자치단체에 각종 사업을 요구하는 것보다는 민간자본이 투입돼 기반시설이 착착 건설되는 일은 긍정적이다. 하지만 민간자본 유치는 치명적인 약점이 있다. 수익성이 불투명할 경우 사업 시행이 대책 없이 늦어지면서 세월만 허송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는 것이다. 특히 동해 북평 제2일반산업단지에는 수소 클러스터의 본부 역할을 할 산업진흥센터와 안전성 시험센터, 기술검증 기반 시설인 실증테스트베드를 조성해 수소 저장 운송 기술개발 및 사업화 촉진, 다양한 수소 형태별 기업제품의 성능 평가, 기술 제품의 안정성 시험 인증을 지원하게 된다. 또 수소 저장 운송용 탱크, 밸브, 배관 등 63개 기업이 입주해 수소산업 생태계를 이룬다.
이 계획이 차질 없이 이뤄지려면 기업 유치, 즉 민간자본이 들어와야 한다. 사업 추진이 원활하게 되려면 기업 유치가 순조롭게 돼야 한다. 더군다나 수익창출을 전제하는 민간자본은 자치단체가 원한다고 모든 사업에 순순히 응할 턱이 없다. 보다 세밀한 조치가 있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 동해시와 삼척시는 ‘수소 저장 운송 클러스터 구축사업’이 지역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지도 차분하게 분석해 나가야 한다. 고용이 창출돼 주민들이 이 사업의 효과를 피부로 느낄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