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년 만에 의과대학 입학 정원 증원이 확정되면서, 의료계는 예상된 결과라는 반응과 함께 정부가 향후 발생할 여파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24일 오후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는 올해 고3 학생들에게 적용될 대학입학전형 시행계획을 변경·승인했다. 이에 따라 2025학년도 의대(의전원 포함) 모집인원은 전년 대비 1천509명이 증가한 4천567명이 된다. 각 대학은 이달 31일까지 홈페이지에 모집 요강을 게시하면 모든 절차가 마무리된다.
최창민 전국의과대학교수 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 비상대책위원장은 "증원이 확정되면 의대생과 전공의들은 돌아가지 않을 것"이라며, "유급된 의대생까지 포함하면 내년에 새로 들어오는 인원은 약 8천명으로, 이들을 데리고 제대로 된 교육이 이루어질 수 없다"고 단언했다. 그는 또한 "전공의는 내년까지도 계속 복귀하지 않을 것으로 본다"며, "전공의가 복귀하지 않으면 전문의 배출이 불가능하고, 임상강사 배출도 중단될 것"이라며 그 결과는 정부가 책임져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다만 최 위원장은 "증원 절차가 완료되어도 교수들은 환자를 돌볼 것이다. 그 점은 달라지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배장환 충북의대 비상대책위원장은 "교육 여건이 부족한 상황에서 정부는 현장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있다"며, "대통령은 몇 년 뒤 자신이 자리에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이어 "이렇게 증원이 이루어지면 심각한 의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전문의를 배출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