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마임의 열기가 춘천을 물들인다.
제37회 춘천마임축제가 오는 25일 개막한다. 다음달 1일까지 춘천 전역서 펼쳐지는 물과 불의 난장은 춘천의 문화예술을 꽃 피운다. 올해 축제는 저마다의 ‘몸풍경’을 발현하는 무대를 구현한다. 각기 다른 장르의 예술가와 시민이 한 데 어울려 완성하는 풍경은 일상과 일탈을 넘나드는 새로운 축제를 제안한다.
25일 축제의 문을 여는 개막난장 ‘아!水라장’에는 낡은 물을 버리고 새 물을 담자는 축제의 염원이 담겼다. 중앙로터리부터 강원일보사 앞까지 이어지는 축제의 환호는 호반의 도시 춘천을 상징하는 물을 주제로 펼쳐진다.

올해 축제는 마임의 몸짓을 보다 깊고 넓은 시선으로 바라보는 프로그램들을 마련했다. 26일 열리는 ‘안녕? 마임의집’은 한국마임협회의 릴레이 공연과 전문가 워크숍으로 구성됐다. 1998년부터 이어진 무대의 열기를 잇는 프로그램은 마임에 깊게 스며들 수 있는 하루를 선사한다. 28일 마련된 ‘모두의 봄’은 예술적 상상을 함께 나누는 예술포럼이다. 문화기획자와 사회학자, 예술가가 만드는 공론의 장은 예술과 인문이 공존하는 풍류도시의 지향을 그린다.

시민들의 일상에 스며드는 공연들도 준비됐다. 축제 기간 석사천 일대에서는 ‘걷다보는마임’이 열린다. 산책로를 따라 펼쳐지는 공연은 시민들의 피곤한 하루를 마무리하는 휴식의 공간을 축제의 장으로 새롭게 탄생시킨다. ‘찾아가는 공연 도깨비유랑단’ 역시 25일부터 30일까지 학교와 병원, 관광지 등 일상적 공간을 무대로 찾아가는 공연을 펼친다.
축제의 피날레를 장식하는 ‘밤샘난장 도깨비난장’은 불타는 예술혼 아래 뒤 섞이는자유의 몸짓을 전한다. 31일부터 6월 1일까지 이어지는 밤샘난장은 국내외 37개 공연팀의 열기로 채워진다. 이두성 예술감독의 ‘닫은 마임’으로 막을 내리는 축제의 장은 오직 춘천마임축제에서만 볼 수 있는 원초적 몸짓을 선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