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건희 여사 일가가 연루된 '양평고속도로 노선 변경 특혜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14일 국토교통부를 포함한 10여 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돌입했다.
특검팀은 이날 오전 세종시에 위치한 국토교통부 장관실을 비롯해 한국도로공사 설계처, 당시 사업 용역을 맡았던 동해종합기술공사와 경동엔지니어링 사무실 등에 수사관을 파견해 내부 보고서, 결재 문건, 컴퓨터 파일 등을 확보했다.
장관실에 대한 압수수색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원희룡 전 국토교통부 장관과 국민의힘 김선교 의원은 이번 압수수색 대상에서 제외됐다.
앞서 경기남부경찰청은 지난 5월 같은 사건과 관련해 국토부 도로정책과와 해당 용역업체들을 한 차례 압수수색한 바 있다.
당시에는 장관실이 포함되지 않았다.
특검팀은 이날 확보한 물증을 분석한 뒤, 국토부 실무자 등 관련자들을 잇따라 소환할 것으로 보인다.
사업 의사결정 경위를 집중적으로 조사하면서 향후 김 의원과 원 전 장관에 대한 직접 조사도 불가피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해당 의혹은 국토부가 서울∼양평고속도로 사업을 추진하던 중, 당초 양서면이었던 종점 노선을 김 여사 일가의 토지가 위치한 강상면으로 변경하면서 불거졌다. 이 변경안은 원 전 장관 재임 당시인 2023년 5월 처음 검토됐다.
사업 원안은 이미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상태였다.
고속도로 노선 변경을 요청한 인물로는 양평군수 출신의 김선교 의원이 지목된다.
논란이 커지자 원 전 장관은 같은 해 7월 해당 사업의 전면 백지화를 선언했다.
같은 달, 원 전 장관과 김 의원, 전진선 양평군수 및 군 공무원들은 직권남용 혐의로 고발됐다.
국회는 국토부에 자체 감사를 요구했고, 국토부는 1년 6개월 만에 담당 공무원 7명에 대해 징계를 권고하는 감사 결과를 내놓았다.
감사 결과에 따르면, 종점 변경안이 처음 제시된 타당성조사 용역의 관리는 총체적으로 부실했고, 국토부는 종점 변경 관련 문건 일부를 고의로 삭제한 뒤 국회에 제출한 사실도 드러났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정작 핵심 책임자인 원 전 장관은 언급하지 않은 채 실무자에게만 책임을 돌리는 '꼬리 자르기'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한편, 김 여사 측은 변호인단을 강화하며 수사 대응에 나섰다.
기존에 단독으로 변호를 맡아온 최지우 변호사 외에 유정화, 채명성 변호사가 새로 합류했다.
이들은 이날 중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위치한 특검팀 사무실에 선임계를 제출할 예정이다.
유 변호사와 채 변호사는 윤석열 전 대통령 관련 수사 변호도 함께 맡고 있는 인물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