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춘천】 춘천시 통합 돌봄 정책이 전국 지자체 대표 사례로 주목 받고 있다.
육동한 시장은 30일 정부 서울 청사에서 열린 보건복지부 통합돌봄정책위원회 1차 회의에 참석, 전국 지자체를 대표해 춘천시 통합돌봄 추진 현황과 성과를 발표했다. 이날 위원회는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과 행정기관, 학계, 전문기관 등이 참석했다.
이날 육 시장은 시청 통합돌봄과 신설과 '춘천愛온봄' 브랜드 정착 과정, 노인통합돌봄 성과, 민관 협력체계 구축 경험 등을 공유하며 현장에서 체감한 제도 필요성과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했다.
시는 2023년 7월 노인 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했고 급격히 늘어날 돌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발빠르게 통합 돌봄 체계를 손봐왔다.
올 1월에는 도내 시군 최초로 지역 돌봄 통합 지원을 전담하는 통합돌봄과를 신설, 내년 3월 돌봄통합지원법 시행에 대비하고 있다. 또 25개 읍면동을 3개 권역으로 나눠 돌봄 신청 대상자를 직접 찾아가 방문 조사하고 개별 통합지원계획을 수립하는 서비스를 펼치고 있다.

생애주기별 맞춤형 복지서비스인 '춘천愛온봄' 정책도 안착 단계에 접어들었다. 특히 춘천형 노인통합돌봄사업은 지역 내 80여 개 공공·민간기관의 협력 아래 1만여 명의 어르신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며 우수 사례로 꼽히고 있다.
이 밖에 시는 지난해부터 보건복지부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기술지원형 시범사업’에 참여하면서 돌봄 모델을 만드는 중이다.
육동한 시장은 “시민이 건강하고 존엄한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돌봄 공동체 기반을 다져왔다”며 “앞으로도 춘천형 통합돌봄 모델을 고도화해 전국 확산에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