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일반

‘낭만’과 ‘얌체 캠핑’ 사이…춘천 삼악산 전망대 텐트족 논란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춘천 삼악산 전망대 점령한 텐트들.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 캡처

가을 캠핑의 성수기를 맞아 강원 춘천 삼악산 전망대가 백패커(배낭 야영족)들로 북적이는 가운데, 일부 텐트족의 ‘얌체’ 행위가 논란을 일으키고 있다.

공용 공간을 점령한 채 등산객의 통행을 방해하고, 금지된 취사까지 시도하는 모습이 포착되며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비판 여론이 이어지고 있다.

최근 삼악산 전망대 통로에 텐트가 빼곡히 들어선 사진이 게시되자 누리꾼들은 "등산로를 통째로 막아놓았다", "남에게 피해 주면서까지 캠핑할 필요가 있냐"며 불만을 터뜨렸다.

특히 이곳은 취식이 금지된 공간임에도 일부 방문객은 가스버너로 물을 끓이는 등 취사까지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삼악산은 의암호와 북한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절경을 자랑하는 장소로, 수도권과 가까워 대중교통 접근성도 뛰어나다.

산림청이 선정한 ‘대한민국 100대 명산’ 중 하나로 손꼽힌다.

이런 이유로 자연 속에서 계절의 정취를 만끽하려는 캠핑족에게는 더없이 매력적인 곳이다.

하지만 해당 지역은 자연공원법상 취사나 야영이 명시적으로 금지된 구역은 아니어서, 일부 이용자들은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범위에서 자연을 즐길 권리가 있다”고 주장한다.

다만 캠핑이 허용된 상황에서도 공공질서를 지키는 ‘기본 매너’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더 많다.

실제 백패커들 사이에서도 ‘국룰’로 통하는 캠핑 에티켓이 존재한다.

이용자들은 “사람이 없는 늦은 밤에 데크에 텐트를 설치하고, 해 뜨기 전 철수한다”며, “주요 등산로나 전망대는 피하고, 이용한 자리는 원래대로 복구하는 것이 상식”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는 지역 주민과 다른 등산객들에게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한 최소한의 배려라는 설명이다.

일각에서는 이 같은 ‘얌체 캠핑’을 방지하기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강제 철거나 과태료 부과 같은 실질적인 단속이 뒤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춘천시 관계자는 10일 “해당 지역은 현행법상 지자체 관리 구역이 아니기 때문에 단속은 어렵고, 홍보와 계도 활동만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춘천 삼악산 전망대 점령한 텐트들. 사진=온라인 커뮤니티 '보배드림' 캡처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