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일반

‘국립예맥문화재연구소’ 강원도에 설치 필요성 제기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보고서…지역 균형발전, 업무 효율화 위해 필요
“역사문화권 집중 연구 위해선 국립기관 설치와 함께 지자체 관심도 필수”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중장기 운영방안 마스터플랜 수립연구 보고서를 통해 국립예맥문화재연구소 설치 필요성이 제기됐다.

강원지역을 중심으로 고유의 정체성을 형성해 온 예국과 맥국의 유적·유물이 분포된 ‘예맥역사문화권’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기 위한 ‘국립예맥문화연구소’의 설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허영 국회의원이 대표 발의해 통과된 ‘역사문화권 정비 등에 관한 특별법(이하 역사문화권정비법) 개정안’을 통해 기존 법안에서는 누락된 예맥역사문화권을 포함 시킨 역사문화권정비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연구 거점 기관이 강원도에 없는 만큼 국립연구소 설치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다.

최근 발간된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중장기 운영방안 마스터플랜 수립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에서 수행하고 있는 예맥역사문화에 관한 발굴조사와 심화연구, 문화유산 보존 활동 등은 국립예맥문화재연구소(가칭)로 분리·독립해 별도 수행하는 것이 지역 균형발전에 부합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중장기 운영방안 마스터플랜 수립연구 보고서

실제로 국립문화재연구원 소속 지방연구소는 현재 경주·부여·가야·나주·중원·강화·완주문화재연구소 등 7개가 있고 역사문화권정비법이 규정하는 역사문화권 가운데 지방연구소가 없는 곳은 강원과 제주(탐라역사문화권) 두 지역뿐이다.

국립문화재연구원 관계자는 “충주에 있는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가 강원도를 맡고 있지만 관할 지역 범위가 지나치게 넓어 충북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 현재 강원과 제주지역에 지방연구소가 없어 학계와 함께 필요성에 동감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계획은 없는 상황이다. 제주에는 이미 움직임이 나오는데 강원은 부족한 부분이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심재연 한림대 한림고고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는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에서 예맥역사문화권 정체성 규명을 위한 업무를 함께 수행하고 있으나 제한된 전문인력만으로 물리적 한계가 있다. 또 중원역사문화권은 국회의원, 도, 대학 연구자,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등이 협력해 지속적으로 연구 계획 수립을 위한 세미나 등을 진행중이지만 강원도는 가시적인 것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다만 국립 기관이 설치되기 전까지 강원도에서 주도권을 잡고 도내 인프라, 연구진을 활용한 연구를 계속해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중론이다.

도내 사학계 관계자는 “강원도에서 주도권을 갖고 연구를 지속할 필요가 있다. 특히 지자체가 고대역사문화와 관련해 적극적인 관심을 갖고 정비 사업뿐 아니라 활용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짚었다.

허영 국회의원은 “도내 다양한 연구자원은 있으나 국비를 받아 집중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연구소가 설립돼야 한다. 콘텐츠 발굴 등을 위해서도 명확한 연구사료가 필요할 것이다. 이는 역사문화권정비법 통과 후 이후 필연적인 요구 사항인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연구 결과를 접하지는 못했다. 다만 도 차원에서는 역사문화권과 관련해 지자체가 신청한 문화재청 공모사업을 검토하는 정도의 역할을 갖고 있기 때문에 연구소와 관련해 말씀드릴 수 있는 단계가 아니”라고 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