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지역 경로당에 심정지 환자 발생시 초기 대처할 수 있는 자동심장충격기(이하 AED)가 설치돼 있는 곳이 100곳 중 2곳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은 심정지가 발생할 가능성이 가장 높은 연령대이지만 경로당은 법적으로 AED 의무 설치 대상이 아니어서 설치 순위에서 밀리고 있다.
3일 강원도에 따르면 도내 경로당 3,279곳 중 AED가 설치된 곳은 단 84곳에 불과, 설치율이 2.6%에 그쳤다.
AED는 심정지로 쓰러진 환자에게 전기충격을 줘 심장을 정상 리듬으로 돌아오게 하는 응급의료장비다. 강원도가 올해 확보한 AED 설치 예산은 4,700여만원으로 16대를 구입할 수 있는 규모다.
하지만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상 AED 의무 설치 대상은 공공의료기관, 500세대 이상 공공주택, 공항이나 철도역사 등으로 한정, 경로당 설치는 후순위가 되고 있다.
AED 설치에서 소외된 경로당 이용 어르신들은 아쉬움과 불안을 호소하고 있다.
춘천 약사 제1경로당을 이용하는 정명자(82)씨는 "경로당 이용자들끼리 돈을 모아 AED를 자체적으로 구입하기에는 비용 부담이 너무 커 엄두를 못 내고 있다"며 "급성 심정지를 비롯한 응급상황이 터진다면 제때 대응 할 수 있을까 걱정된다"고 말했다.
질병관리청의 ‘2021년 급성 심장정지 조사 주요 결과’에 따르면 도내 급성 심정지 환자는 총 1,433명이며 이 중 70세 이상의 고령 환자 비율은 약 절반인 54.2%(794명)에 이른다.
이건실 대한노인회 강원도연합회장은 "AED 확대 설치 뿐만 아니라 이용법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응급의학 전문가들과 현장 구급대원 등은 경로당과 같이 고령의 어르신들이 모여있는 공간일수록 응급 상황 발생 확률이 높아 AED의 설치가 중요하다고 당부하고 있다.
김동원 한림대 춘천성심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경로당은 연세가 많은 노인분들이 오랜 시간을 보내는 공간인 만큼 심정지가 일어날 확률이 높다"며 "급성 심정지 발생시 1분마다 심장이 정상으로 돌아올 확률이 10%씩 떨어지는데 AED를 바로 사용하면 빠른 대처가 가능한 만큼 설치 확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