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The 초점]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 존경은 바라지 않는다

조백송 강원희망교육포럼 대표 전 강원교총 회장

초등학생이 담임선생님의 지도에 불만을 가지고 교사를 폭행하는 사건에 이어 이번에는 교사의 지도에 대한 학부모의 악성 민원과 항의가 결국 한 교사를 죽음으로 내몬 사건이 우리를 슬프게 하고 있다. 젊은 교사의 죽음이 이미 예견된 일이었음을 알기에 더욱 안타깝고 마음이 아프다.

학생 인권을 최우선으로 보호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참교육을 부르짖고 교사의 지도권을 박탈해 버린 교육계 일부 집단들 다 어디로 숨었는지 분노가 치민다. 교원노조는 이 기회를 이용해 앞장서서 교권 추락 문제를 제기하고 대책을 세우라고 위선적 주장을 하고 있다. 교권의 붕괴가 당신들이 주장하는 참교육에서 비롯됐다는 것을 모든 국민은 알고 있다. 학생의 잘못을 질책하는 교사의 지도는 정서학대로 학생 인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하면서 선생님의 지도권을 스스로 박탈해 버리고 학생들에게는 인권 보호라는 이름으로 교사의 교육적 지도를 아동학대로 신고하도록 만들었다. 일부 학부모단체도 여기에 가세해서 내 아이만 차별하고 학대한다고 항의하고 교육청에 지속적으로 민원을 제기하면서 교사의 교육은 어디에도 설 자리가 없는 학교가 되고 말았다.

교사의 교육적 체벌이 가능하던 시대에 교육받은 세대들은 선생님의 체벌도 일정 부분 긍정적 영향을 미친 부분이 있었다는 것을 성인이 된 후에 깨달았을 것이다. 그러나 오래전에 교육적 체벌도 법으로 완전히 금지하고 있다. 교사의 지도가 불만족스럽다고 학부모가 교사에게 항의하는 것은 결코 자녀의 바른 성장과 사회화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자녀가 선생님의 지도에 불만을 드러내더라도 부모는 선생님의 지도를 잘 따르도록 지도하는 것이 자녀에게 긍정적인 교육 효과를 발휘하도록 하는 올바른 가정교육이다. 만약 부모가 자녀의 불만에 합세해 함께 교사의 지도에 항의하고 민원을 제기하게 되면 선생님에게는 더 이상 배울 게 없다.

학교폭력예방법이 제정된 이후 교사의 지도는 더 설 자리를 잃어버리게 됐다. 학생들 간의 갈등이나 다툼이 일어나면 교사는 학교폭력전담기구에 즉시 신고하는 일 외에 할 일이 없다는 사실이 더욱 무기력하게 만든다. 학교폭력이 접수된 이후에는 오직 법적 절차만을 따라야 한다. 교사의 교육적 지도가 작용할 여지는 전혀 없다. 만약 교사가 학생에게 왜 싸웠는지 이유라도 물었다가는 학부모로부터 차별한다는 항의와 법적인 책임까지 감수해야 한다.

선생님의 인격을 한없이 깎아내리면서 학교에 무엇을 기대할 수 있을까? 부모가 교사를 욕하면 그 자식 또한 반드시 부모를 탓하게 된다. 자녀는 부모의 거울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학교교육과 가정교육이 결코 잘 될 수 없다. 부모가 선생님의 권위를 세워주고 존경해야 아이도 선생님을 존경하고 잘 따르게 되고 올바른 성장과 교육이 될 수 있다고 믿는다.

학교는 학습만 이뤄지는 곳이 아니다. 성장기의 학생들이 상호작용을 통해 올바른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는 사회화 과정이 이뤄지는 곳이다. 사회화 과정이 인간에게는 무엇보다도 중요한 잠재적 교육과정이다. 이 과정에서 교사의 역할이 절대적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선생님의 한마디 칭찬과 질책이 학생에게는 측정할 수 없는 무한한 긍정적 교육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교사의 지도에 부모가 개입하게 되면 교사의 지도는 반대로 학생에게 독약과 같은 부정적 효과를 미치게 된다.

맨발로 뛰어나와 스승을 맞이하고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는 존경을 바라지 않는다. 교사의 교육활동과 지도를 존중하고 따를 때 자녀는 올바르게 성장할 수 있다는 것을 모든 부모님들이 수용하는 지혜가 필요할 때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