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천

담장 무너지고 지붕 내려 앉는 도심 빈집…태풍에 불안감 고조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태풍 상륙 앞서 춘천시 고위험 빈집 16곳 긴급 점검
소유주 동의 없으면 담장 철거도 어려워 주변부 통행 금지 조치만
춘천지역 도심 빈집 1,100여호 추정, 정비계획 시급
육동한 시장 “위험 빈집 전수 조사, 사전 대비 하겠다”

◇태풍 상륙을 앞둔 9일 춘천시 우두동의 한 빈집에 접근 금지를 알리는 안전띠가 설치돼 있다.

【춘천】 강한 비바람을 동반한 제6호 태풍 카눈의 한반도 상륙이 예보되면서 집중호우 때마다 반복되는 도심 빈집 붕괴 사고에 대한 우려가 또 다시 커지고 있다.

춘천시는 지난 7~8일 태풍 상륙에 앞서 민원이 접수되거나 자체 식별된 고위험 빈집 16곳을 현장 점검하고 담장 붕괴 위험이 큰 2곳에 대해 긴급 조치에 나섰다. 해당 빈집 2곳은 소유주가 향후 철거를 진행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주변 골목길에 대한 통행 금지 조치가 우선적으로 이뤄졌다.

하지만 상당수의 빈집은 위험 구조물 만을 철거하려 해도 소유주의 동의를 얻어야 하는 등 절차가 까다로워 조치 속도가 더디기만 하다. 시는 올 상반기 빈집 24곳의 소유주에게 안전 관리 요구 공문을 발송했지만 철거에 대한 강제 권한은 없다. 빈집 붕괴로 피해가 발생할 경우 고발이 이뤄지는 사후 조치가 전부다.

태풍 상륙이 임박한 9일 찾은 우두동의 한 붕괴 위험 빈집은 접근 금지를 알리는 안전 띠만 집 주변을 에워싸고 있을 뿐이었다. 이미 담장이 반쯤 허물어졌고 현관 철문을 지탱하는 기둥도 금이 간 채로 골목으로 기울어져 보행자 안전을 위협하고 있었다.

약사동의 또 다른 빈집도 시멘트 담장이 휘어져 있었고 흙벽돌이 떨어져 나와 지붕이 주저 앉기 직전의 모습이었다. 해당 건물은 이웃 상인들이 장마에 앞서 철거를 요구했으나 소유주 동의를 얻지 못해 방치되고 있다.

춘천시와 강원연구원에 따르면 2019년 빈집 실태조사에서 파악된 빈집과 올 하반기 추가 실태 조사 대상에 포함된 빈집은 춘천지역 도심 내에만 총 1,100여가구에 이른다. 시는 해마다 빈집정비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최근 3년 동안 투입된 연간 예산은 2억4,500만원에 불과하다. 올해는 도심 8개 가구, 농촌 15개 가구를 정비하는데 그친다.

도심 빈집 문제에 대한 사회적 우려에 따라 시는 빈집정비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관련 예산의 증액도 검토 중이다. 육동한 시장은 “지난 집중호우 때부터 빈집에 대한 우려가 컸고 위험성이 내포된 빈집에 대한 전수 조사와 사전 대비를 진행하고 있다”며 “재난은 장담할 수 없지만 가장 안전하게 대응하는 시스템을 갖출 수 있도록 유관기관과 공조하겠다”고 말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