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21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거대 양당 후보들이 잇따라 전기자동차 보급 확대를 약속, 하락세를 보이는 친환경차 보급률을 끌어올릴 수 있을지 주목된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최근 발표한 10대 대선 공약 중 기후위기 대응 부문에 '전기차 보급 확대 및 노후 경유차 조기 대·폐차 지원을 통한 수송 부문 탈(脫)탄소 가속화’를 제시했다. 이 후보는 민주당 후보 수락 연설에서도 “2030년까지 전기차 보급률 50%를 달성하겠다”며 “전기차와 충전 인프라를 확충해 친환경 모빌리티(이동수단) 100% 전환을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충전기 부족 문제를 해결해 전기차 접근성을 높이는 데 초점을 맞췄다.
국민의힘 김문수 후보는 경선 후보 시절 전기차의 개별소비세를 과세 대상에서 제외하겠다고 약속했다. 전기차를 구입할 때 내야하는 세금 부담을 해소, 전기차 보급확대를 유도하겠다는 것이다.
이같은 대선 후보들의 공약을 비롯해 올해 1차 추경에 강원자치도내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 국·도비가 27억원이 더해지면서 보급 확대에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다.
도에 따르면 2022년 이후 도내 전기자동차 계획 대비 보급률은 매년 감소하고 있다. 2022년 6,125대를 계획했지만 5,769대가 보급됐고, 2023년 4,045대(6,099대 계획), 2024년 3,269대(5,855대 계획) 등 매년 계획대비 보급 대수의 격차가 벌어졌다.
올해 총 전기자동차 구매 지원 예산은 389억5,720만원으로 지난해(432억원) 예산 보다 10% 줄어든 상태다.
도는 2022년 4,400기였던 전기차 충전기를 올해 1만4,402기로 확대하면서 운전자가 10분 이내 충전소에 접근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고 최근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전기 자동차 판매가 둔화된 것과 지원금이 이전보다 높지 않아 보급률도 떨어졌다"며 "전기자동차 신차 출시와 함께 대선 공약, 강원도내 충전기 인프라 개선도 이뤄지며 올 하반기엔 소비자의 유입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