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들어 강원지역 내 대형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이 잇따라 부도를 내며 도내 건설사들의 유동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금융감독원의 PF 사업장 정보공개 플랫폼에 따르면 19일 현재 강원지역 PF 사업장 12곳이 부도 등의 이유로 사업이 취소돼 매각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올해 1월(6곳)에서 2배나 늘어난 숫자다.
이들 사업장의 감정평가액은 3,744여억원에 달한다. 사업별로는 아파트·주상복합 등 주거시설 사업장이 5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숙박시설(4곳), 레저·산업·상업시설(3곳)이 뒤를 이었다.
양양지역 하이엔드 생활형숙박시설 개발 사업의 경우 분양가가 3억~9억원 사이었으나 부동산 경기가 얼어붙으면서 분양에 실패했다. 이 사업장의 감정평가액은 지난해 말 기준 1,052억원에 달했지만 지난해말 공매가 시작된 후 652억원까지 최저가가 떨어졌지만 입찰자가 없어 수의계약 협의가 진행되고 있다. 원주지역 한 주상복합시설도 사업 무산으로 경·공매 대상에 올랐지만 유찰을 거듭, 다음달 마지막 입찰을 앞두고 있다.
사업장의 잇단 부도와 매각 지연 원인은 지난해부터 이어진 부동산 경기 침체 탓이다. 부동산PF가 부도처리 되면 시공을 맡은 건설사 역시 무사하기 어렵다. PF 부실로 중견기업들도 잇따라 법정관리 신청에 들어갔다. 신동아건설, 삼부토건 등 올해 들어 법정관리를 신청한 중견기업만 총 11곳이다. 삼부토건의 경우 지난해 자금난으로 몇년간 시공을 맡아온 ‘춘천 삼부르네상스 더테라스’의 공사를 중단하기도 했다.
더욱이 부도 사업장 정리 지연으로 금융권이 PF 신규 대출을 꺼리며 건설사들이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
여기에 강원지역은 악성 미분양까지 심화되는 상황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강원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은 734가구로 전월 대비 11.6% 증가했다. 도내 악성 미분양은 지난해 10월 이후 다시 700가구를 넘겼다. 이같은 악재로 올들어 60곳 이상의 종합 및 전문건설업체가 폐업신고를 하는 등 지역 건설업계는 심각한 위기를 겪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는 6·3 대선 후보들에게 도내 건설경기 부양을 위한 실질적인 활성화 대책을 공약에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
최상순 대한건설협회 강원특별자치도회장은 “유례없는 경기 불황이 건설투자 감소로 이어지면서 중견기업마저 흔들리고 있다 지역 건설업계 회복을 위한 대안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