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석탄공사 사옥, 활용방안을 적극적으로 찾아야

국내 1호 공기업, 원주 혁신도시서 사라져
디지털 산업 육성 기관 등 여러 방법 고민을
지역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으로 거듭나야

국내 1호 공기업이자 석탄 산업의 상징이었던 대한석탄공사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지난달 말 마지막 남은 도계광업소가 문을 닫았고, 6월30일자로 전 직원이 퇴직하면서 석탄공사는 사실상 해체 수순을 밟고 있다. 강원 원주 혁신도시 내 석탄공사 본사의 불 꺼진 로비와 빈 책상은 한 시대의 종료를 실감케 한다. 공공기관의 해산은 매우 이례적인 일이다. 더구나 혁신도시로 이전한 기관이 통째로 없어진 첫 사례라는 점에서 충격은 더욱 크다. 공공기관은 단순한 일자리 창출을 넘어 지역경제의 버팀목이자 활력의 원천이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강원 원주혁신도시 12개 공공기관이 지역에 기여한 경제적 규모는 1,123억원에 달한다. 이 가운데 석탄공사의 기여는 약 48억원으로 비중은 크지 않지만 상징적 존재였던 만큼 그 여파는 무시할 수 없다. 지역 상권 침체와 정주 인구 감소는 피하기 어렵다. 석탄공사 해산이 곧 지역 내 순환소득 급감으로 이어지고 지방세 수입과 부동산 및 공공서비스 수요 감소로 연결될 수 있다. 공공기관 이전으로 형성된 ‘혁신도시 생태계’가 균열을 겪을 우려가 높아지는 대목이다. 이제 가장 시급한 과제는 석탄공사 본사 사옥의 활용 방안을 찾는 일이다. 현재 이 건물의 별다른 이용 계획은 마련돼 있지 않다. 이는 자칫 방치로 이어져 혁신도시 내 슬럼화의 단초가 될 수 있다.

사옥은 물리적 자산을 넘어, 지역과 국가가 수십 년간 쌓아 온 공공자원의 총합이다. 이 자산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공실로 남겨 둬서는 안 된다. 사옥 활용은 ‘누구에게 빌려줄 것인가’의 문제가 아니다. 중장기적으로 어떤 기능을 부여하고, 지역사회와 어떤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가 핵심이다. 공공기관 유치를 재추진하는 것도 한 방법이지만 쉽지 않다. 보다 유연하고 창의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지역특화산업 육성기관, 청년창업허브, 디지털 전환교육센터, 탄소중립 전환기지 등의 기능을 입히는 방안을 고민할 수 있다. 문화·예술 복합공간이나 공공지원형 공유오피스 형태로 탈바꿈해 지역민에게 개방하는 것도 검토할 만하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중앙정부, 지자체, 지역사회가 머리를 맞대고 적극적인 협의를 시작하는 일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석탄공사의 기능 일부를 한국광해광업공단으로 이관하면서도, 사옥 활용이나 직원 재배치 등 후속 조치에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왔다. 원주시와 강원특별자치도 역시 지금까지 뚜렷한 이용 구상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 상황을 방치하면 할수록 지역의 불안과 불신만 커진다. 석탄공사의 해산은 산업구조 전환의 불가피한 결과일 수 있다. 그러나 공공기관 해체가 곧 지역 공동화를 의미하는 것이어서는 곤란하다. 폐광에서 시작된 에너지원 전환의 흐름은 시대적 요구지만, 그로 인해 지역이 손실만 입어서는 안 된다. 이제 석탄공사는 사라졌지만, 그 자리는 새로운 가능성의 공간이 돼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