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버티기조차 힘든 청년들, ‘희망고문’은 언제까지

청년 창업과 취업의 이중고가 강원특별자치도 청년들을 더욱 옥죄고 있다. 내수 침체와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는 가운데 도내 30세 미만 청년 사업자 수가 올 1분기 기준 9,214명으로 전년 대비 460명 급감했다.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7년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코로나19 팬데믹이라는 전례 없는 위기 속에서도 증가세를 유지했던 청년 창업이 올해 들어 마침내 주저앉은 것이다. 문제는 단순히 창업 감소에 그치지 않는다. 청년 자영업자 폐업은 지난해 6,753건으로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월평균 563명이 사업장을 접었다는 말이다. 특히 소매업과 음식업 등 내수 밀접 업종의 타격이 심각하다. 창업보다 휴·폐업이 많다는 것은 청년 창업이 더 이상 ‘도전’이 아닌 ‘모험’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방증한다. 높은 금리, 위축된 소비, 그리고 부족한 정책적 뒷받침 속에 청년들은 빚을 안고 시작한 사업을 채 1년도 못 되어 정리해야 하는 상황에 내몰리고 있다. 일자리 사정도 다르지 않다.

올 1분기 도내 15~29세 청년 취업자 수는 9만3,000명으로, 전년보다 무려 5,000명 줄었다. 이는 2021년 이후 4년 만의 감소세다.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지 않는 것이 아닌 그들이 갈 수 있는 일자리가 사라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현실 앞에 청년들에게 희망을 가지라 말할 수 없다. 청년 실업은 청년 개개인의 문제를 넘어 지역사회 전체의 위기다. 청년이 떠나는 지역에는 미래가 없다. 노동 가능 인구가 감소하고 지역 소비력이 약화되면, 이는 다시 민간 투자의 부진과 공동화 현상으로 연결된다. 강원특별자치도처럼 수도권과의 거리, 산업 기반의 취약성 등의 구조적 약점을 가진 지역에는 청년층 이탈이 더욱 치명적이다.

이제는 청년에게 ‘버텨라’라고만 말할 것이 아니라 실질적인 정책 대안이 요구된다. 먼저, 청년 창업 지원책의 방향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 자금 지원 위주의 단편적 정책은 한계가 있다. 창업 전 단계에서의 교육과 멘토링, 업종별 리스크 분석과 맞춤형 컨설팅, 안정적인 시장 진입을 위한 판로 지원 등이 병행돼야 한다. 특히 고정비 부담이 큰 오프라인 중심 업종보다는 온라인, 디지털, 그린산업 등 미래지향적 업종으로의 유도책이 필요하다. 청년 고용 대책도 단순한 단기 일자리 확대가 아니라 지역 산업과 연계된 구조적 접근이 중요하다. 공공부문의 일자리를 지역에 분산하고, 지역 기반의 중소기업을 육성해 청년들에게 일할 수 있는 이유와 머물 수 있는 명분을 제공해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