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제2금융권 부실대출로 휘청, 리스크 관리 나서야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강원특별자치도 내 제2금융권 금융기관들이 부동산 관련 부실대출에 직격탄을 맞고 있다. 한국은행 강원본부가 발표한 ‘강원지역 비은행금융기관의 경영상황 평가’에 따르면, 강원지역 주요 비은행금융기관의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이 2023년 말 2.7%에서 2024년 말 4.3%로 급등했다.

특히 태백, 삼척, 원주 등 영서남부와 폐광지역을 중심으로 자산건전성에 심각한 경고등이 켜진 상황이다. NPL은 금융기관이 빌려준 자금 중 3개월 이상의 연체가 발생해 회수가 어려운 부실대출을 의미한다. 문제의 핵심은 부동산 의존도가 지나치게 크다는 점이다. 도내 제2금융권의 부동산 관련 대출은 2018년 6,000억원 수준에서 2023년 말 약 3조2,000억원으로 불과 5년 만에 5배 이상 폭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상가담보대출 등이 대거 이뤄졌으나, 2022년 이후 부동산 경기가 급속히 얼어붙으며 연체와 부실이 현실화됐다. 이는 제2금융권의 자산건전성을 위협할 뿐 아니라, 수익성 지표인 총자산순이익률(ROA)도 크게 하락시켰다.

더욱이 새마을금고, 신협, 농협 등 지역 밀착형 금융기관들의 부실화는 지역경제에 연쇄 충격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우려스럽다. 2024년 현재 강원도 내 제2금융권 점포 172곳 중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지점은 35곳에 달하며, 이 가운데 새마을금고가 27곳으로 가장 많았다. 이것은 단순한 경영상 위기를 넘어 지역 금융안전망이 흔들리고 있다는 경고와 다름없다.

강원지역은 고령화율이 높고, 중소상공인 및 자영업자 비중이 큰 특성을 갖고 있다. 이들이 주로 이용하는 새마을금고나 신협 등의 건전성 악화는 곧 서민금융의 위축으로 이어진다. 지역민의 금융 접근성이 떨어지고, 대출이나 예금 서비스의 안정성마저 의심받게 된다면 이는 곧 지역경제 기반의 붕괴로 귀결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강력한 건전성 강화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우선 비은행금융기관들은 리스크 관리 능력을 제고하고, 부동산 대출에 대한 의존도를 줄여야 한다. 연체율이 높은 지역 중심으로 부실자산을 정리하고, 대출 포트폴리오의 다변화가 시급하다. 그리고 금융 당국과 지자체는 합동 점검 및 컨설팅 체계를 공고히해야 한다. 제2금융권의 경영 실태에 대한 면밀한 분석과 함께, 문제 지점에 대한 구조조정 또는 경영개선 권고를 적극 추진해야 한다. 또 지역 기반 금융기관으로서 단기 수익을 쫓는 투기성 대출이 아닌, 주민과 소상공인을 위한 서민금융 기능이 강화돼야 한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