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강원특별자치도 특례, 양양발전 마중물될까?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 농촌활력촉진지구 지정 등 능동적 용도지역 변경 추진
-토지 본래 모양 살려 기반시설 확충하는 ‘양양형 모델’

【양양】양양군이 강원특별자치도 특례를 활용해 역세권 개발을 추진, 지역발전으로 이어질 지 결과가 주목된다.

양양군에 따르면 농촌활력촉진지구는 강원특별법 시행과 함께 도입된 대표적 특례 제도로서 강원도지사가 직접 농업진흥지역을 해제할 수 있는 권한이다.

군은 해제된 농지의 적정한 용도변경을 통해 역세권내 인근 토지들의 이용 가치 또한 능동적으로 변화시키겠다는 전략을 세웠다.

전면 개발방식은 토지주 반발은 물론, 재정여건이 열악하고 토지가치가 낮은 군단위 지역에서는 사업성이 낮아 민간투자자를 찾기 힘든 한계가 있었다는게 군의 설명이다.

이에 양양군은 대규모 개발을 지양하고 개별 필지 단위 투자가 가능할 수 있도록 군단위 맞춤형 지구단위계획 중심의 양양형 개발 모델을 제시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 주민 개별 건축을 장려하되 일정 획지가 필요한 공동주택건설 등의 사업에 대해서는 필지 단위들을 묶어 특정 건축만 가능하게 하는 공동개발 방식이 주요 골자다.

기존 도시개발사업에서 보이는 획일적인 구역 획지도 기존 농로 구거 등을 따라 토지 본래 모양을 살리며 기반시설을 확충해 나가는 것도 양양형 모델의 한 특징이다.

탁동수 양양군수권한대행은 “역세권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일정 부분 정주 인구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만큼, 역세권내 적정한 주거용지가 확보될 수 있도록 강원특례 관련 부서들과 긴밀히 협력할 것”이라며 “신설되는 양양역을 중심으로 새로운 교통·주거·관광·상업의 신도심권이 형성될 수 있도록 역세권 개발사업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양양역 역세권 개발지 일대 모습.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