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폐광지 대체산업의 운명이 오는 20일 결정된다.
이재명 대통령 지시에 따라 산업통상자원부가 2030년으로 예정된 국내 마지막 삼척 도계 경동 상덕광업소의 3년 내 지원 중단과 함께 폐광을 앞당기기로 한 만큼 대체산업의 조속한 확정과 추진이 더욱 절실해졌다.
정치권 등에 따르면 기획재정부는 20일 재정사업평가위원회를 열고 조기 폐광지 경제진흥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를 심의·의결한다.
폐광지 경제진흥사업은 태백 청정메탄올 등 미래자원 클러스터, 삼척 도계 중입자 가속기 기반 의료산업 클러스터 조성 등을 담고 있다. 총 사업비는 7,167억원 규모다. 2023년 12월부터 예타 조사를 시작했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은 태백 미래자원 클러스터의 완공 후 30년 간 운영 시 직접고용 3,220명 간접고용은 3만4,185명으로 예상했다. 또 삼척 의료 클러스터의 경우 완공 후 30년 간 직접 고용은 6,043명, 간접 고용 1만8,502명으로 각각 분석됐다.
폐광으로 인한 실업 규모가 태백 876명, 삼척 도계 1,685명으로 추산되는 점을 고려하면 경제진흥사업 추진 확정 시 주력산업 전환도 속도를 받을 전망이다.
다만 정부가 당초 예정된 2030년 보다 완전 폐광을 앞당기기로 하며 경제진흥사업도 필요성이 시급해졌다.
폐광지 경제진흥사업은 정상 추진 시 경동 상덕광업소의 폐광 이전인 2029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폐광으로 인한 대량실업과 주민 이탈이 발생하기 전에 대체산업 전환을 유도한다는 계획이었다.
하지만 이 대통령이 마지막 민간 탄광에 대해 “빨리 지원을 중단하는 게 맞을 것 같다. 탄소 발생도 시키지 않느냐”고 말한 만큼 폐광이 1~2년 앞당겨질 전망이다. 그만큼 대체산업 전환에도 속도를 내야만 한다.
강원자치도 역시 발 빠르게 산업부와 대책 마련에 나섰다. 강원자치도 글로벌본부는 지난 14일 산업부를 방문, 삼척 도계 경동 상덕광업소 조기 폐광으로 인한 대책을 수립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