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인구 절벽 경고음…道, 위기를 기회로 만들자면

강원특별자치도가 직면한 인구 문제는 단순한 수치의 감소를 넘어 지역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총체적 위기로 다가오고 있다. 강원일보 AI 저널리즘랩이 분석한 ‘2045 강원특별자치도 미래보고서’는 이 위기의 실체를 낱낱이 보여준다. 인구 150만명 선 붕괴가 2026년 초로 전망되는 가운데, 2045년에는 도민 10명 중 4명이 65세 이상 고령자가 되는 초고령사회가 현실화된다. 이는 지역경제의 생산 기반 약화, 지방행정의 비효율화, 공동체 해체 등 복합적 충격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특히 도는 인구 감소의 속도마저 빨라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2024년 6월 말 기준 연간 인구 감소 폭은 전년보다 더 확대됐으며, 이는 출생률 하락의 문제가 아니라 청년층 유출과 사망자 증가가 동시에 진행되는 ‘이중 고령화’의 신호다. 이제 도는 ‘정주인구’의 틀을 넘어선 발상의 전환이 절실하다. 보고서가 제안한 ‘체류인구 200만 시대’ 구상은 이 점에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다. 관광, 통근, 교육 등 다양한 형태의 인구 흐름을 유인하고 유지하는 전략은 고정된 인구 감소의 틀을 벗어나 지역 활력을 되살릴 수 있는 새로운 지표가 될 수 있다. 특히 체류인구 확대는 지역 일자리 창출, 교통망 확충, 관광산업 활성화 등 다양한 정책 효과를 동시에 견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한 대안이자 강원형 생존 전략이다. 그러나 체류인구 개념만으로는 위기를 돌파할 수 없다. 산업구조의 근본적 혁신 없이는 인구 유입도, 출산율 제고도 기대하기 어렵다. 도는 아직까지도 농축산업, 관광에 의존하는 구조에서 탈피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타파하기 위해서는 청년과 여성, 중장년층이 만족할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를 적극적으로 마련하고, 이를 뒷받침할 교육, 주거, 문화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 특히 의료·보건, 육아·돌봄 등 생활밀착형 복지 서비스의 강화는 고령사회에 필수적이다. 또한 초고령사회 진입에 따른 정책 변화도 요구된다. 2045년 강원의 평균 연령은 61세로, 지금의 40대가 맡던 사회적·경제적 중추 역할을 60대 이상이 담당하게 되는 새로운 구조가 형성된다. 이는 세대 간 균형이 붕괴되고 경제활동 중심축이 고령층으로 이동함을 의미하며, 이에 따른 노동시장 정책, 복지체계, 교육제도의 전면 개편이 필요하다. 지금 도는 명백한 인구 절벽의 경고 앞에 서 있다. 이 위기를 기회로 바꾸기 위한 유일한 길은 더 늦기 전에 구조적 전환을 결단하는 데 있다.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