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일반

"규제 풀린 DMZ, 희생의 땅에서 성장의 중심축으로"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2025 DMZ 규제완화와 발전전략 포럼 성료
강원일보·강원특별자치도 공동 주최·주관
김진태 지사 "내년 국비 1,000억 투입, 인프라 확충 속도 낼 것"

'2025 DMZ?규제완화와 발전 전략?포럼'이 27일강원연구원에서 김진태 강원자치도지사, 김시성도의장,박진오 강원일보사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열렸다. 참석 내빈들과발표 및 토론자들이 무대위에 함께 나와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박승선기자

‘2025 DMZ 규제완화와 발전전략 포럼’이 27일 강원연구원 리버티홀에서 접경지역 주민과 관계기관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

강원특별자치도와 강원일보가 공동 주최하고 강원연구원이 후원한 이번 포럼에는 김진태 강원특별자치도지사와 김시성 도의장, 박진오강원일보 사장, 김왕규 도의원 및 접경지역 시군민이 대거 참석해 뜨거운 관심을 보였다.

포럼은 김열수 한국군사문제연구원 안보전략실장의 기조강연과 김창환 강원대지리교육과 교수의 주제발표, 종합토론 순으로 진행됐다. 권혁순 강원일보 논설주간이 좌장으로 참여한 토론에서는 양철 강원연구원 연구위원, 김진무 전 국방연구원 북한센터장, 김덕용 속초시번영회장, 류종현 강원대 부동산학과 객원교수 등이 참여, 다양한 DMZ 발전 방안을 논의했다.

김열수 실장은 기조강연에서 “강원 접경의 규제완화 특례는 안보와 지역거버넌스, 국제 협력이 균형을 이룰 때 실천력이 담보된다”고 강조했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김창환 교수는 공간·정주·산업·협력의 4대 실천전략을 제시하며 “남북축 이동 불편 구조를 우선 개선하고, 지역자원 기반의 특화산업 실증과 생활권 안정, 중앙–군–지자체–주민을 잇는 다층 협력 모델을 구축해야 지속가능성이 확보된다”고 설명했다.

앞서 열린 개회식에서 박진오 강원일보 사장은 “강원도의 접경은 오랜 기간 국가안보를 위해 규제와 희생을 감내해온 공간이었던 만큼 특례 시행과 민통선 북상, 속초시의 접경 포함은 제도 완화의 종착점이 아닌 새로운 실행 설계의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오늘 논의가 주민 체감 개선과 지속가능 성장 모델 정립으로 이어지도록 공론의 장 역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김진태 지사는 축사에서 “2026년 행정안전부 국비 1,000억 원을 확보해 접경지역의 생활 인프라와 기반시설 확충을 추진 중이지만 도비와 국비 확보는 출발점에 불과하다”며 “강원의 접경지를 성장의 중심축으로 재정의하고, 체감 개선이 가시적 성과로 이어지도록 속도를 내겠다” 고 말했다.

김시성 의장은 “국회에 제출된 강원특별법 3차 개정안이 통과돼야 교통망 기반의 역세권 개발, DMZ 관광 특화, 지역자원 실증산업, 기업 유치, 청년 정착 정책이 실천력을 갖춘다"며 "도의회는 접경지역 대상 중앙 예산 규모의 비례적 확대를 촉구하면서 규제완화의 근거를 다듬고 실행 입법을 완성하는 데 더욱 앞장서겠다”고 피력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