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방치된 일자리의 보고 농공단지]IT단지 대부분 식품기업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특화업종 중심단지 단 3곳

지역특화 전략사업 육성 더뎌

지자체 분양률 높이는데 급급

지난 23일 오후 찾은 횡성 공근농공단지 입구의 대형 간판에는 '횡성IT밸리'라고 표기돼 있었다.

하지만 '공근IT밸리'라는 명칭이 무색하게 17개 입주업체 대부분은 식품기업이었다. A 정보통신기업의 문은 굳게 닫혀 있었다.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경기도에 본사를 둔 기업인데 2010년대 초 잠깐 가동됐다가 휴업한지 꽤 오랜시간이 지났다”고 말했다.

공근농공단지는 도내 농공단지 특화 정책의 한계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다. 당시 지자체는 IT산업의 메카를 표방하며 정보통신기업을 유치했지만 CD, 카세트 테이프 등 '사양산업' 생산기업을 유치하며 모두 2010년대 들어 문을 닫았다. 산업의 변화를 내다보는 정책 안목과 전략이 결여된 결과다.

도내 대다수 농공단지가 '백화점식 입주'에 그쳐 지역전략산업 육성도 지지부진하다. 현재 가동 중인 39개 도내 농공단지 중 특화업종을 위주로 기업 입주가 이뤄지며 공장 가동률이 80% 이상인 곳은 춘천 거두(바이오), 원주 동화(의료기기), 속초 대포(수산가공) 등 3곳 정도다. 농공단지 특화는 지역 향토산업의 육성, 산·학·관 협력체계의 효율성, 성공적인 기업유치 등에 반드시 필요한 과제다. 그러나 지자체 경제분야 성과 홍보를 위해 내세우는 핵심 지표인 분양률 높이기만 급급해 '일단 분양하고 보자'는 식의 기업유치가 이뤄지고 있다.

지경배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은 “지역 전통산업 기반과 연계한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 기술 고도화를 위해서는 특화전략이 중요하다”며 “특화업종을 중심으로 한 기업집적, 공간 브랜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하림기자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