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횡성 묵계단지 등 폐수처리 안돼 업체당 매달 300만원 비용
20년 이상 노후단지 22곳…지자체 개선 외면에 기업들 불만
일자리 문제가 화두이지만, 정부도 지방자치단체도 이렇다 할 대안은 내놓지 못하고 있다. 지역특화산업 육성에 매년 수백억원을 투입해도 고급 일자리는 안보인다. 우수 제조업체들은 청년이 오지 않아 속을 태우며, 지역 청년들은 갈만한 기업이 없다고 호소한다. 본보는 '지역산업의 핵심 공간'인 농공단지에 주목했다. 농공단지 운영의 실태와 문제점, 대안을 3회에 걸쳐 고민해 본다.
성원식품 태원택 대표는 연매출 10억원의 목표를 갖고, 지난해 원주 우산동에서 횡성 묵계농공단지로 이주했지만 기대는 좌절로 바뀌었다. 소스류 생산 후 나온 용기 세척수가 농공단지에서는 폐수로 분류돼 환경부 규제를 받지만, 1987년 준공된 단지에는 폐수처리장이 없다.
결국 자체 폐수 집적시설에 모았다가 인천 업체를 통해 처리하고 있다. 가로×세로×높이 1m 용기의 1톤 폐수 처리비는 14만원. 매월 22톤을 처리하는데 직원 2명 인건비에 달하는 300만원이 들어간다. 태 대표는 “군·도에 폐수처리장 설치 민원을 제기했지만 모두 외면 당했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군 관계자는 “폐수처리장 조성에 40억원이 들고, 부지 확보, 전 업체 동의 등의 행정절차로 설치를 못 하고 있다”고 말했다. 묵계농공단지는 1985년 지정된 '강원도 1호 농공단지'다. 종가집과 농협사료공장 등 대기업뿐만 아니라 성우엔비테크, 강원수출대상 1호 기업인 수한 등 17개 우수 제조업체가 밀집됐지만, 진입로에 번듯한 공단 표지판도 없었고, 빛바랜 이정표가 곳곳에 있었다.
지역 제조업의 심장부인 농공단지가 노후화로 성장 한계에 직면했다. 한국산업단지공단에 따르면 조성이 완료된 도내 농공단지는 39곳, 누계생산액 3조3,909억원으로 도내 산업단지 총 생산액의 58%를 차지한다. 농공단지 고용인원은 1만7,325명으로 도내 산업단지 총 고용인원의 65%에 달한다. 조성된지 20년 이상된 농공단지가 전체 56%인 22개에 달하지만, 올해 도의 노후 농공단지 시설개선사업 대상지는 2개소에 그치는 등 '땜질식 지원'에 그치고 있다.
지경배 강원연구원 연구위원은 “농공단지의 지역경제 기여도는 매우 높지만, 체계적인 지원책은 취약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하림기자 peace@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