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양 포월농공단지 내 A식품제조업체는 생산직 직원 30명 중 11명이 외국인이다. 하루 8시간, 주 5일 근무 시 월급이 190만원 선이지만, 1년 중 7개월을 구인공고를 낼 정도로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군지역 공단 가동 84% 그쳐
60대 퇴직자까지 다시 채용
"기숙사등 인력유치 대책 절실"
최종성 포월농공단지협의회장은 “주문이 밀려 공장 증설을 검토해도 인력 수급에 자신이 없어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평창농공단지의 B건설자재 제조업체는 지난해 원주에 지사를 냈다. 사무직 직원 2명을 뽑는 공고를 10회 내고도 충원을 못해 원주에서 선발하고 본사를 오가며 근무하도록 하고 있다. 김진해 평창농단협의회장은 “인력을 못 구해 공장 가동에 차질을 빚는 업체도 부지기수”라고 했다.
도내 군지역 농공단지들이 경영에 위협을 받을 정도의 만성적인 인력난을 겪고 있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이 발표한 2017년 4분기 도내 농공단지 현황에 따르면 시지역 농공단지들의 가동률은 97%에 달한 반면, 군지역 농공단지들은 84%로 무려 13%포인트 낮았다. 홍천 화전농공단지의 경우 청년층 인력을 아예 구하지 못해 근로자 평균 연령이 50대다.
김승현 화전농단협의회장은 “퇴직한 60대를 채용한 기업들도 많은데 생산성, 장기 경영 측면에서 보면 우려스러운 현상”이라고 했다.
군지역 농공단지의 인력난은 학력인플레로 인한 청년층의 생산직 기피현상에 농촌 이탈까지 겹친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이 때문에 지자체의 정주여건 개선정책이 맞물려 가야 한다는 지적이다.
홍성욱 한림성심대 교수는 “학생들을 현장실습 보낼 때 주거여건을 먼저 고려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공용 기숙사 운영 등 실효성 있는 청년인력 유인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신하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