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일반

[방치된 일자리의 보고 농공단지]보조금 지원 전무…회사 떠나는 근로자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2)손놓은 지자체

재정난에 관리비까지 연체

시, 지원은 커녕 압류 통지

각 시·군들은 앞다퉈 일자리 창출을 위해 '친(親)기업도시'를 표방하고 있다. 과연 제도 여건은 제대로 갖춰졌을까. 제조업체가 밀집한 농공단지 지원 체계를 보면 허점은 드러난다.

속초 대포농공단지협의회(이하 대포농단협)는 최근 시로부터 관리사무소 관리비를 장기 연체했다며 압류 통지서를 받았다. 대포농단협의 관리사무소는 2014년 시가 건물을 매각하며 신축한 젓갈컴플렉스센터로 이전됐고, 이때부터 15만원 안팎의 관리비 고지서가 날아왔다.

100여개 입주기업의 회비로 운영비를 충당하는 대포농단협은 지난해 재정난에 사무국장도 내보냈다. 임동환 회장은 “사무 볼 사람은 있어야 해 공공근로자라도 지원해 줄 것을 시에 지속 건의했지만 모두 외면당했다”고 성토했다.

도내 18개 시·군 가운데 농공단지협의회 활성화를 위한 지원제도 기반을 갖춘 곳은 철원 단 한 곳으로 나타났다. 철원군은 농공단지협의회를 구성, 운영할 수 있도록 한 정부 지침에 따라 2015년 농공단지 관리조례를 제정했으며 매년 입주기업체협의회 운영비를 지원하고 있다.

나머지 시·군은 농공단지 조성, 공동시설 관리조례만 있으며, 중소기업 조례로 개별기업을 지원하고 있다.

경상북도, 전라남도 등 타 지자체는 중간지원조직인 농공단지협의회 지원을 위해 조례를 제정해 시행 중이다. 강원도는 지원이 전무해, 각 농공단지협의회장들은 “연간 30만~60만원의 회비를 입주기업들에게 갹출하고 있지만, 의무사항이 아니어서 운영비 조성이 어렵다”고 했다.

산업클러스터 분야 전문가들은 “입주기업들의 협의체는 공동시설조성, 기업 간 정보 공유, 교육·컨설팅 활동, 지자체와의 교류 등 공동운영에 필요한 중요한 기능을 맡기 때문에,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하림기자 peace@kwnews.co.kr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강원의 역사展

이코노미 플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