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월 본래 접근성 낮고 발전 속도 더뎌
폐광지역은 타 지역 발전 소모품 불과
출발점부터 달라 일어서기 전에 무너져
25년만에 겨우 제천~영월고속도 확정
평택~삼척 전구간 완공도 반드시 필요
어린 시절 영월의 탄광과 삭도를 보면서 자랐다. 당시 영월은 침체된 곳이 아니라 매우 역동적이고 활기찬 곳이었다.
1980년대까지만 해도 충북 제천까지만 도로가 포장돼 있었다. 타 지역에 갔다 영월에 올 때면 비포장도로가 나오면 이제 영월에 도착했구나 하는 생각을 했을 정도다.
지역 주민과 해당 지자체의 자체적인 노력보다 그 지역의 입지적인 조건과 정치적인 역량이 지역 발전에 가장 중요한 키워드가 아니었나 하는 생각을 하게 된다. 영월은 작은 지역이다 보니 교통이 안 좋았고 인근 다른 지역보다 더딘 속도로 발전한 것으로 보인다.
지금 생각해 보면 지역의 발전과 변화는 주민이 주도하는 것이 아니라 중앙정부의 정책에 따라 좌지우지된 것으로 보인다. 이 점이 매우 안타깝다. 오지에 위치한 폐광지역은 국가 산업 기여도와 타 지역 발전에 밑거름으로만 사용됐다. 폐광지역이란 가슴 아픈 명칭도 갖게 됐다.
중앙집권체제 기능은 국가 균형이 아니라 도시 경쟁력과 산업화 등의 격차를 더욱 크게 만들었다. 영월 등 폐광지역은 자신들의 살을 빼내어 주며 국가 산업 발전에 핵심 역할을 했다. 중앙정부의 의지에 따랐으며 우리의 당연한 역할이자 의무라고 생각했다. 지금 우리가 외치는 국가 균형발전과 형평성은 사실 과거에는 없었다. 새로운 변화를 위해 경쟁하는 등 폐광지역 4개 시·군은 경쟁력 있는 도시가 될 수 있도록 수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문제는 출발점이 같지 않다는 것이다. 타지역에서는 폐광지역만 어려운 삶을 살고 있는 것이 아니라고 이야기한다. 폐광지역은 자원 공급도시로서의 수명을 다했다. 출발하기 위해 일어서기도 전에 무너지고 있다. 폐광지역은 이러한 제한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아픔을 담고 있는 주민과 함께 정부도 이 아픔을 함께해야 한다.
폐특법의 시효 폐지 주장은 우리 지역이 다른 지역보다 더욱 특별한 것을 해 달라고 바라는 것이 아니다. 공정하게 다른 지역과 같은 자리에서 출발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이다. 폐특법이 주민들의 삶을 그나마 유지할 수 있는 원동력이기 때문이다. 이제야 겨우 희망을 생각하는 폐광 지역 주민들의 간절함이자 당연한 목소리다. 폐광 지역의 새로운 경제나 문화를 요구하는 주민들의 절박함이다.
올 8월 동서고속도로 충북 제천~영월 구간의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로 사업이 확정됐다. 영월군민들은 우리 지역 변화 촉진을 위한 최대 숙원사업이었던 고속도로가 개통된다며 축하 잔치까지 벌이고 싶다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기뻐했다. 사실 좀 더 정확하게 따지자면 동서고속도로는 착공 24년이 지났는데 아직 제천까지밖에 오지 않은 것이다. 제천에는 심지어 종점이라고 쓰여 있다.
25년 만에 강원도 영월에 고속도로 사업이 확정됐고 십여 년이 더 지나야 개통이 가능하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한다면 영월군민으로서는 참 많이도 기다리고 참았다고 볼 수 있다. 우리 폐광지역만 특별한 대우를 받고자 폐특법 시효 폐지를 주장하는 것이 결코 아니다.
폐광지역은 자원 공급도시로서 국가 산업 발전과 타 지역의 도시 기반 산업 구축에 큰 도움을 줬다. 이제 폐광 지역도 새로운 꿈을 꾸고 중앙정부와 함께 발전 가능성을 생각해 봐야 한다. 평택~삼척 전 구간 완공도 반드시 필요하다. 중앙정부의 역할을 기대해 본다.
정리=오윤석기자 papersuk1@kw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