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특별자치도가 주도해 만든 산림녹화 기록물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됐지만 도내에 기록관이 없어 기록물 관리 및 전시 권한이 중앙 정부로 넘어갈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강원특별자치도는 지난 1일 도청 신관 소회의실에서 ‘산림녹화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 관련 감사패 수여식을 갖고 후속 대책 등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는 감사패 수여와 등재 이후 기록 보존 방안 등이 논의됐다.
하지만 정부가 산림녹화 기록물을 수도권에 있는 국가기록원 또는 국립세종수목원에 보존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지며 이를 활용한 관광자원화 등은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산림녹화기록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자료는 법령, 공문서, 사진, 필름, 우표 등 총 9,619건에 달한다. 이 중 강원도는 2,700건을 제출, 전체의 28%로 최다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화전관리대장’과 ‘강원도청 공무원 복지조림조합’ 등은 전 세계적으로 희소 가치가 큰 데다가 강원자치도만이 보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한국산림녹화 UNESCO 등재추진위원 등은 도내에 기록관을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산림녹화 등재에 관여한 인사 A씨는 "당초 춘천 소재 강원도립화목원 인근 부지에 기록물을 보존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으나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방안은 이와는 거리가 멀다"며 "수도권 국가기록원, 국립세종수목원에 유치하는 방안 등에 대해서만 논의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강원도 관계자는 “강원도립화목원에서도 보관 및 전시가 가능한 점을 고려, 사안을 검토 중”이라며 “합리적인 방안을 마련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