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대청봉] 일상이 된 코로나19 이후를 대비해야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이명우 취재담당 부국장 겸 사회체육부장

WHO 위기상황 해제 결정
장기적 관리체계 전환 판단
미국·일본 규제 완화 전망

우리나라 심각→경계 예상
의료 장비·처우 개선 절실
변이바이러스 발생 경계도

세계보건기구(WHO)가 지난 5일(현지시간) 코로나19에 대해 최고 수준의 보건 경계 태세인 국제공중보건위기상황(PHEIC)을 해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WHO 긴급위원회는 변이 심각성이 낮고 확진자 발생이 감소하는 점, 세계 각국의 의료 대응 역량이 강화됐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이제는 비상사태에서 벗어나 장기적인 관리체계로 전환할 시기라고 판단, PHEIC 해제를 권고했다.

2020년 1월 코로나19에 대한 PHEIC가 내려진 지 3년4개월 만에 나온 결정이다. PHEIC 해제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각국이 의료 역량을 최우선으로 투입해야 했던 코로나19가 더 이상 치명적인 전염병이 아닌 계절성 독감처럼 장기적으로 관리할 유행병 수준이 됐다는 판단인 셈이다.

지구촌을 죽음의 공포로 몰아간 코로나19는 2019년 12월31일 중국이 후베이성 우한에서 정체불명의 폐렴이 발생했다고 WHO에 보고하며 시작됐다. 그 후 한 달 뒤인 2020년 1월31일 WHO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PHEIC를 선포했으며 3월11일에는 코로나19 ‘팬더믹’(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했다. 그 후 3년4개월여 동안 전 세계에서 691만여명이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었다.

코로나19는 선진국의 민낯을 보여주기도 했다. 미국과 유럽 등은 자국민 우선을 내세우며 백신 사재기에 몰두했으며 그로 인해 아프리카 등 후진국에서는 수많은 인명이 코로나19로 목숨을 잃어야 했다. 전 세계 경제를 위협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경제 갈등 역시 코로나19를 계기로 가속화됐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WHO가 공식적으로 밝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명칭인 ‘COVID-19’가 아닌 ‘우한 바이러스’라고 칭하며 중국이 전 세계를 향해 바이러스 공격을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인권과 생명을 주장하던 선진국들이 위기가 닥치니 얼굴 뒤에 감췄던 본성을 드러낸 것이다.

WHO의 이번 조치로 코로나19 백신 접종 증명서 없이도 해외여행이 가능해졌다. 미국은 오는 11일 코로나19 비상사태 종료를 예고했고, 일본 역시 다음 달 8일부터 코로나19를 독감처럼 관리하고 관련 방역조치를 해제할 예정이다. 전 세계 각국도 코로나19와 관련한 각종 규제를 잇따라 풀 것으로 보인다.

PHEIC가 해제되며 우리나라 방역 당국도 코로나19 위기 단계를 ‘심각’에서 ‘경계’로 낮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부가 발표한 로드맵 ‘1단계 조치’가 시행되면 확진자 격리 기간은 7일에서 5일로 줄어들고, 임시선별검사소의 운영과 범정부 차원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대응도 종료되며, 신규 확진자 수 등 통계는 주간 단위로 발표된다. 이후 의료기관 등의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나 격리 의무가 완전히 해제되는 2단계 조치와 완전한 일상 회복을 의미하는 3단계 조치가 순차적으로 뒤따르게 된다.

그러나 이 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지금 이 시간에도 코로나19 확진자와 사망자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와 새로운 미지의 감염병에 대한 경계를 늦춰서는 안 된다고 경고하고 있다. 미국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2년 내 새로운 변이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국내 전문가들 역시 고위험군에 대한 보호와 새로운 변이 또는 신종 감염병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예산과 인력 등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감염병과 사투를 벌이던 의료진에 대한 처우 개선과 장비 확충도 절실하다.

WHO가 PHEIC 해제 결정으로 지구촌이 코로나19 비상사태 충격에서 벗어나고 있지만 언제 또다시 인류를 위협할지 모르는 감염병에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일은 지금부터 준비해야 할 과제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파리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