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 원주시·지역 6개 대학 ‘상생 협약’, 성과를 내야

원주지역 상생 발전을 위해 원주시와 원주권 6개 대학이 최근 손을 잡았다. 원주시와 상지대, 강릉원주대, 연세대 미래캠퍼스, 한라대, 경동대, 한국폴리텍대학 원주캠퍼스는 지난 23일 원주시청 투자상담실에서 협약을 체결했다. 실무협의체도 구성, 다음 달부터 운영한다. 원주시와 6개 대학은 지역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를 발굴하고 역량을 결집, 더 큰 원주를 만들기 위해 힘을 모으기로 했다. 기대를 갖게 한다. 대학과 지역사회 모두 서로의 역량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기회인 동시에 상호 보완의 관계를 유지·발전시켜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말 그대로 상생의 길이 될 수 있다.

대학은 연구 역량과 노하우를 현장에 접목함으로써 학문의 실용성을 높여 나갈 수 있는 좋은 계기다. 원주시는 관·학 협력을 위한 허브 역할을 담당한다. 대학들이 사업안을 제시하면 관련 부서들이 검토하고 중앙부처 대상 제안 공모의 경우 공동 추진도 지원한다는 계획도 긍정적이다. 6개 대학은 교수, 연구진, 학생 등 인적 자원을 활용해 지역 발전을 위한 아이디어와 사업을 발굴하고 효율적인 사업 추진 방안을 협의·제안하는 역할을 맡는다고 한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성과를 내고 지역의 혁신 역량을 강화해 가야 한다. 국가나 지역 발전의 원동력은 혁신 역량이다. 혁신 역량은 교육으로부터 나온다. 혁신 역량을 산업화하는 것은 기업이다. 기업 발전의 원동력은 결국 교육인 셈이다. 최고의 경제 정책은 교육 정책이라는 주장과 상통한다. 따라서 앞으로 원주시와 지역의 6개 대학이 맺은 협약은 산학 협력으로 이어져야 한다. 그래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고급 두뇌 집단인 대학이 캠퍼스 울타리 안에 안주하지 않고 지역사회 속으로 뛰어들어 새로운 역할을 찾아야 한다. 대학은 급변하는 사회에 나름의 변신을 추구해 나가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이 같은 현상은 다만 대학의 독자적인 의지나 노력에 의해 이뤄지는 것이 아니다. 연대의 파트너가 되고 있는 자치단체나 민간기업도 대학과의 협력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다.

그런 점에서도 상호작용에 의한 변화다. 그리고 여기서 유념할 점은 외형적인 교류 협력과 연대가 곧 결실로 나타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교류 협력 선언 이후의 실질적인 활동이 내실 있게 추진되고 구체적인 성과로 이어져야 한다. 원주시와 지역의 6개 대학은 모두 진정성을 갖고 생산적인 결과 도출을 위한 실용적 협력과 공조를 발전시켜 가길 바란다. 그래야 원주시와 지역의 6개 대학 모두가 공생할 수 있다.

기자의 다른기사 보기

가장 많이 본 뉴스

    파리올림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