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및 18개 시·군,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등 산불 유관기관들이 지난달 29일 강릉시청 대회의실에서 2024년 강원특별자치도 산불방지 협의회를 열어 봄철 산불 방지를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이날 회의에는 18개 시·군, 산림청 산림항공본부, 북부·동부지방산림청, 육군 3군단, 해군 1함대사령부, 한국전력공사, 산림조합중앙회 강원지역본부, 국립공원공단 등 도내 44개 산불 방지 유관기관·단체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했다. 봄철 산불은 3~4월쯤에 집중되는 데 미리 협의회를 통해 사전 점검하는 것은 바람직한 일이다. 무려 8일간 동해안 일대의 산림 2만3,794㏊를 잿더미로 만들었던 2004년의 산불이나 2019년 4월의 고성 산불이 떠오른다. 인명과 재산뿐 아니라 산림을 한순간에 폐허로 만드는 봄철 동시다발성 산불이 더 이상 반복되지 않도록 대비 또한 빨라져야 할 것이다.
산불은 자연재해가 아니다. 논·밭두렁 태우기, 담뱃불, 전신주 누전, 방화, 실화 등 사람들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하는 게 대부분이다. 학생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산불 예방 및 대응 방법을 교육해야 한다. 그리고 다양한 경로로 이에 대한 영상을 제공해 누구나 산불에 대처하는 방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홍보에 힘써야 한다. 산불은 얼마든지 예방이 가능하다. 산불에 대한 시민들의 각별한 주의와 감시 활동을 강화하는 게 우선돼야 하는 이유다. 무엇보다 자치단체와 소방 당국은 초기 신속한 진화에 필요한 시스템을 갖추는 데 소홀해선 안 된다. 산불이 꽃 소식보다 먼저 봄을 알리는 일은 없어야 한다. 특히 강원특별자치도 산불방지 협의회는 피해면적이 3,000㏊ 이상일 경우에만 산불진화자원을 총동원할 수 있었던 운영 기준을 올해부터 피해면적 100㏊ 이상일 때도 도지사가 총동원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 적절한 조치다.
하지만 이것만으론 부족하다. 빅데이터 정보를 분석해 산불 발생지역 예측과 화재 예상 시나리오를 토대로 한 예방·대응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적극 활용해 시·군 단위부터 산불에 대응하도록 해야 할 때다. 산불 다발지역의 산불 유형, 지역적 특성, 강수량, 풍속, 풍향, 기온, 습도 등 기후 데이터 등의 정보들을 사전 분석해 화재 예방, 대피, 화재 진압·복구에 십분 이용해야 한다. 점점 빈번해지고 있는 산불을 자치단체 차원에서 대비하기에는 태생적인 한계가 있다. 부족한 산불 예방 인력과 장비를 탄력적으로 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있어 정부의 지원이 절대적으로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