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8월18일 치러지는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최고위원 후보 중 4선의 김민석 의원과 3선의 전현희 이언주 의원 등 친명(친이재명)계 현역 의원들을 비롯한 8명이 14일 예비경선을 통과해 본선에 진출했다.
이개호 중앙당선거관리위원장은 이날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예비경선 결과 이같이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한준호 강선우 민형배 김병주 의원 등 재선 의원들도 예비경선 통과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고, 원외 인사 가운데서는 정봉주 전 의원이 본선에 진출했다.
초선의 이성윤 의원과 박진환 최대호 김지호 박완희 후보는 본선에 오르지 못했다.
친명계가 대거 본선에 오른 것은 커질 대로 커진 권리당원의 영향력이 입증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번 8·18 전당대회부터 최고위원 예비경선에 권리당원 투표를 50% 반영한 것이 이러한 결과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기존에는 최고위원 예비경선에서 중앙위원들만 투표권을 행사했다.
최고위원 선거가 일찌감치 '명심(이재명 전 대표의 의중) 경쟁'으로 흐른 가운데 현역 의원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인지도에 힘입어 권리당원들의 표심을 흡수하면서 강성 친명 원외 인사들을 누르고 예비경선을 통과한 것으로 평가된다.
민주당 관계자는 "권리당원들이 처음 투표에 참여하면서 인지도가 높은 인사들에게 유리하게 작용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당 선거관리위원회가 이날 13명의 최고위원 후보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예비경선 결과 전현희·한준호·강선우·정봉주·김민석·민형배·김병주·이언주(기호순) 등 8명의 후보자가 본선 티켓을 따냈다.
이들 가운데 정봉주 전 의원을 제외한 7명은 지난 22대 총선에서 당선된 현역 의원이다. 현역 중 탈락한 후보자는 이성윤 의원이 유일하다.
반면 정 전 의원을 뺀 원외 인사 4명은 모두 컷오프됐다. 이재명 전 대표의 측근인 김지호 부대변인, 박진환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상임위원 등도 고배를 마셨다.

당내에선 이날 현장 정견발표에서의 선명성 경쟁도 당락을 가르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5분씩 진행된 정견발표에서 후보자들은 "이재명 인질을 구출하겠다"(민형배), "소년공 출신 이재명 대통령 시대를 열겠다"(강선우), "정권을 찾아오겠다. 이재명 정부 만들 수 있다"(김병주) 등 대부분 '명심 마케팅'에 치중했다.
정 전 의원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은 말로 하는 게 아니다. 결기고 용기고 행동이며 실천"이라며 "자유롭게 탄핵 이야기를 할 수 있는 내가 거리에서 민주당 외연을 넓히며 싸우겠다"고 말했다.
예비경선을 통과한 8명은 오는 20일부터 지역 순회 경선을 거쳐 내달 18일 전당대회에서 '최종전'을 치른다.
본경선 룰 역시 2년 전 대비 권리당원의 투표 비중을 크게 올린 만큼 강성 친명 당원들의 표심 향방에 따라 희비가 엇갈릴 전망이다.
한편, 민주당 최고위원 후보들의 '친명 마케팅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는 일각의 지적과 관련, 민주당 당권 주자인 이재명·김두관 후보가 14일 엇갈린 반응을 내놨다.
이 후보는 이날 민주당 최고위원 예비경선이 열린 국회도서관을 찾아 '후보들이 모두 자신이 친명(친이재명)임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기자들 질문에 "친국민·친민주당을 그렇게(친명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답했다.

최고위원 후보들의 선거운동이 단지 '친명 표심' 호소가 아니라 국민과 민주당을 위한 것이라고 규정한 것이다.
이 후보는 그러면서 "이번 최고위원 후보들은 전부 훌륭한 후보들로, 우리 당이나 국민을 위해 역할을 할 인재들"이라며 "저도 오늘 말씀(정견발표)을 잘 들어보고 신중한 한 표를 행사하겠다"고 덧붙였다.
반면 김두관 후보는 같은 질문에 "아무래도 권리당원들이 이 후보를 압도적으로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최고위원 후보들이 그것을(친명 성향을) 표방하는 것"이라고 답했다.
현재 후보들 사이에서 '친명 표심' 경쟁이 벌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는 점에서 이 후보와 입장차를 보인 것이다.
김 후보는 다만 "언론에서는 친노(친노무현)·친문(친문재인)·친명 등으로 프레임을 나누지만 크게 보면 다 민주당 아니냐"라며 "당내 다양한 색깔이 있는데 이를 다 묶어내야 한다. 친노·친문·친명 당원들이 함께하는 민주적인 정당으로 끌고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고위원 후보들도 앞으로 본인들의 정책이나 가치, 노선에 입각한 정책을 발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언급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