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사설]강원지역 외식비용 고공행진, 서민가계 곪아 터져

강원지역 외식 물가 상승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고 있다. 김밥 한 줄, 냉면 한 그릇마저도 서민들에겐 부담이 되는 시대다.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4월 외식비 동향에 따르면 강원도 내 주요 외식 품목 8개 중 5개가 연초보다 가격이 올랐다. 김밥은 3개월 만에 3.4% 뛴 평균 3,367원에 달했고, 비빔밥은 1인분에 9,889원, 칼국수는 9,111원으로 1만원에 근접했다. 냉면과 삼계탕 가격도 1만원을 넘기며 외식 한 끼가 서민들에게 점차 사치가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런치플레이션(런치+인플레이션)’의 근저에는 식재료비와 인건비, 임대료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고 있다. 올해 들어 최저임금이 시간당 1만원을 넘어서고, 기상이변에 따른 채솟값 급등, 축산물 가격 인상 등이 잇따랐다.

문제는 이러한 물가 상승이 서민경제에 미치는 영향이다. 고정된 월급과 수입에 의존하는 서민과 고령층, 자영업자들에게 외식비 증가는 실질적인 생활의 질 하락으로 이어진다. 특히 외식비는 생계비의 일정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만큼 중산층 이하 계층일수록 소비 위축이 불가피하다. 이는 지역 내수 경기 둔화로도 연결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외식업계 자체의 침체도 야기할 수 있다. 강원도는 관광 산업 의존도가 높은 지역으로 외식업은 관광객 유입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직결되는 핵심 분야다. 외식물가의 폭등은 관광객 유인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한 끼에 1만원을 웃도는 가격은 ‘가성비’를 중시하는 내국인 관광객의 발길을 돌릴 수 있고, 지역 이미지에도 흠이다. 도내 자영업자들조차도 “가격을 낮추고 싶어도 현실이 어렵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외식 물가 안정은 단순한 가격 문제가 아니라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성을 가늠하는 사안이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이고 정교한 대응책을 수립해야 한다. 현재 정부는 돼지고기 1만톤에 대해 할당관세를 적용하고 대형마트 할인 행사를 추진 중이나 이는 단기적 처방에 불과하다.

도 차원에서도 물가 민감 품목에 대한 정기 모니터링, 식재료 공동 구매 시스템 도입, 외식업체에 대한 인센티브 제공 등 보다 지속 가능한 물가 안정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때다. 또한 소비자들의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지역사랑상품권 확대, 중저가 외식 프랜차이즈 유치 지원 등 생활 밀착형 대책도 병행돼야 함은 물론이다. 외식비 상승은 비단 외식업계나 소비자만의 문제가 아니다. 사회 전체의 구조적 현안과 맞물린 복합적인 현상이기에 그 해법 또한 다각적이어야 한다.

피플&피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