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14일 통일부 명칭 변경이 국민의 대표기관인 국회에서 여야가 함께 의논해야 할 아주 중요한 사안이라고 밝혔다.
정 후보자는 이날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더불어민주당의 윤후석 의원의 관련 질의에 "통일부 명칭 변경을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반도부'가 대안 중 하나"라며 이같이 답했다.
정 후보자는 북한이 2023년 말 남북관계를 '적대적 두 개 국가론'이라고 선언한 원인에 대해 "강대 강의 산물이라고 생각한다. 남쪽 정부에서 '주적'을 얘기하고 '선제타격'을 얘기한 데 대해서 북의 대응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과거 동·서독의 통일을 '실용적 접근'이라며 "사실상의 두 국가를 인정하면서 화해와 교류 협력을 통해서 통일로 다가간 것"이라고 언급한 뒤 "이재명 정부가 가야 할 길은 바로 실용주의 노선"이라고 강조했다.
'두 개 국가론'을 헌법에 반영하라는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지시가 이행돼 북한의 헌법이 개정됐는지에 관해 정 후보자는 "아직 헌법에 반영하지는 않았다. 아직 헌법에 반영된 것은 없다"고 답변했다. 구체적인 근거는 제시하지 않았다.
정 후보자는 한미 연합훈련에 관한 더불어민주당 소속 김준형 의원의 질의에 대해선 "2018년 한반도에 봄을 열었던 것이 평창올림픽을 앞두고 2017년 말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3월로 예정된 한미 군사연습을 연기하겠다. 이것을 미국에 제안하겠다'고 한 것이 물꼬를 텄던 것은 중요한 함의가 있다"며 "앞으로 NSC(국가안전보장회의) 등을 통해 논의해야 할 사안"이라고 답했다.

정 후보자는 이날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자유의 북진이 아닌 평화의 확장으로, 적대적 대결이 아닌 화해와 협력으로 한반도 평화의 물길을 다시 돌려세워야 한다"며 "폐허가 돼버린 남북 관계를 다시 복원하고 무너진 한반도의 평화 공존 체제를 재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엄혹한 국제정세 앞에서 한반도 문제에 대한 희망과 기대보다 걱정과 우려의 시선이 큰 것도 사실"이라면서도 "지난 시기를 돌아보면 급변하는 국제 질서와 강대국 정치의 틈바구니 속에서도 우리는 한반도 평화 구축의 역사를 쉼 없이 써내려 왔다"고 강조했다.
그는 1991년 남북기본합의서 체결과 2000년 6·15 남북 공동선언, 2018년 4·27 판문점 선언 등을 언급하며 "당시는 불가능해 보였지만 국민들의 인내와 저력이 만들어 낸 역사적 산물"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과거가 현재를 돕고 죽은 자가 산 자를 구한다"며 "지난 시기에 남북이 합의한 것들에 대한 이행방안을 고민하면서 멈추어 서버린 1단계 화해 협력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남북 관계가 국민의 일상을 위협하지 않도록 한반도의 평화 공존을 향한 작은 발걸음을 통해서 사실상의 통일로 계속 나아가야 할 것"이라며 "그것이 우리 민족이 살고 한반도가 번영하는 길"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