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첫 장관 인사청문회가 14일 본격 시작하는 가운데 강원 여야 정치권이 각각 ‘송곳 검증’과 ‘신상털기 방지’ 선봉에 섰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후보자들에 대해 “결정적 문제는 없다”면서도 사생활 보호를 위한 법안 개정에 나섰고, 제1야당 국민의힘은 문제 있는 후보자들이 임명돼선 안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민주당 허영(춘천갑)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지난 11일 인사청문회를 '공직윤리청문회'와 '공직역량청문회'로 나눠 진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 인사청문회법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 공직윤리청문회에서 개인 신상·도덕성 검증을 비공개로 진행하고, 공직역량청문회는 정책 검증 위주로 공개 진행하는 내용을 핵심으로 담고 있다.
허 의원은 "현행 제도에선 청문회가 실질적 검증보다는 신상 털기나 정치공세에 집중되는 경향이 컸다"며 "인사청문회를 이원화해 사생활·가족 문제 등 민감한 사항에 대한 정치적 악용을 방지하고, 정책·전문성 검증을 투명하게 하고자 한다"고 했다.

반면 국민의힘 의원들은 의혹 공세 수위를 최대치로 끌어올리고 있다.
특히 14일 인사청문이 열리는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 집중 공세를 펼쳤다.
'이재명 정부 공직후보자 국민검증센터 단장'을 맡은 유상범(홍천-횡성-영월-평창)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연일 강 후보자 사퇴를 촉구했다. 유 의원은 지난 1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강선우 후보자 갑질 논란이 커지고 있다"며 "보좌진에게 집안일을 시킨 적 없다고 했던 후보자 해명은 거짓말이었다"고 지적했다.
권성동(강릉) 의원도 페이스북을 통해 "여가부 장관 자리에 남의 가족을 부려먹은 후보자를 내정한 것"이라며 "사회적 약자 권익 증진 적임자라는 것은 납득이 어렵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