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민의힘 윤상현 의원은 16일 이재명 정부를 향해 "특사는 논공행상의 대상이 아닌 국익을 위한 자리"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윤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이재명 대통령이 유럽연합(EU), 프랑스, 영국, 인도 등 14개국에 대통령 특사단을 파견하며 '민주 대한민국의 복귀'를 국제사회에 알리겠다고 밝혔다. 듣기에는 그럴듯하지만, 그 속에 감춰진 대선 논공행상의 그림자를 국민들은 뚜렷이 보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까지 발표된 특사단 면면을 보면 대부분 대선 캠프에서 총괄선대위원장을 맡았던 인사들이며, 특사단 구성 역시 민주당 의원들로 채워졌다"라며 "국익을 위한 외교라기보다 선거공신 챙기기라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라고 밝혔다.
그는 "더욱이 이번 특사 파견은 역대 정부와 달리 대상국이 갑작스레 14개국으로 확대되어 국민들이 쉽게 납득하기 어렵다"라며 "특히 국민의 이목이 집중된 곳은 미국 특사다. 미중 패권 경쟁, 방위비 분담금, 무역 관세, 주한미군 문제까지 한미관계를 둘러싼 외교현안이 산적한 상황에서 특사의 역량과 메시지가 국익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윤 의원은 "지금 필요한 것은 여야·진영·정파를 초월한 통합형 사절단이다"라며 "정계, 외교계, 학계, 문화예술계 등 각 분야를 대표하는 인사 20~30명 규모의 전문가 사절단을 구성해 미국 행정부·의회· 싱크탱크·학계·언론 등 워싱턴의 핵심 채널을 각개격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실력이 검증된 외교 전문가를 포함해 여야를 아우르는 각계의 중량급 인사들이 국익 중심의 전략 외교를 펼쳐야 할 때"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특사 인선을 둘러싼 여당 내 혼선과 반발은 국민의 불신을 키우고 있다"라고 지적했다.
또,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내정설에 민주당 내부에서 반발이 터져 나왔고, 당 지도부가 대통령에게 공개적으로 반대 의사를 전달하는 모습까지 생중계됐다"라며 "미국이 이를 모를 리 없다. 국익을 훼손하는 위험한 장면"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은 이제라도 국민적 의구심을 해소해야 한다"라며 "외교의 엄중함을 직시하고, 특사 파견의 배경과 성과를 보다 성실하고 투명하게 설명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윤 의원은 "보여주기식 외교는 결코 성공할 수 없다"라며 "외교는 실력이고, 국익은 말이 아니라 행동으로 증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