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피커·벽돌·사다리로
인간의 욕망 등 담아내
영상, 설치, 사운드아트 등 장르 간 경계를 넘나들며 획일적이지 않은 작업을 선보여 온 김승영작가는 1999년 뉴욕현대미술관(MoMA) PS1 레지던시에 참여하기 위해 수많은 인종이 모인 미국 뉴욕에 첫발을 내딛는다. 그리고 그곳에서 1년 가까이 이방인으로 생활하며 국가, 민족, 문화의 차이와 언어의 장벽을 느낀다.
이 경험은 작가의 미의식을 타자와의 소통에 천착하도록 하는 결정적 계기가 됐다. 이후 작가는 대한해협 공해 한 지점에서 민족과 문화적 배경 및 언어가 다른 일본 작가와 만나 역사와 정체성에 대해 풀어낸 해프닝 '바다 위의 소풍'을 발표한다.
또 10개국의 언어가 서로 부딪치며 반복되는 사운드아트 작업 '헬로'와 타인과의 내외적 교류를 가로막는 장애를 다룬 '벽', 작가의 어머니가 실제 앉았던 의자를 통해 정서적 교감을 추구한 '의자' 등을 잇달아 선보여 화제가 됐다.
강원국제비엔날레에 처음 출품된 '바벨타워'는 창세기 11장에 등장하는 바벨탑에 대한 이야기를 모티브로 한다. 바벨탑 신화는 온 땅의 언어와 말이 하나였다가 사람들의 마음과 언어가 혼잡해짐에 따라 뜻이 다른 사람들이 흩어지고 도시가 건립되는 과정을 다루고 있다. 작가는 스피커와 벽돌, 사다리로 만들어진 바벨탑을 통해 바벨탑 신화에서 가지고 있는 인간의 욕망과 소통의 문제 그리고 언어의 흩어짐으로 야기된 혼란을 표현했다.
평창동계올림픽취재단=최영재기자